[태그:] Leo

  • 저궤도위성(LEO) 산업의 현재와 미래

    목차

    1. 지구 저궤도 위성 (Low Earth Orbit)

    2. 산업의 성장 배경

    3-1. 우주인터넷(저궤도 위성통신)
    3-2. Space X의 스타링크(StarLink)
    3-3. 아마존의 카이퍼(Kuiper)
    3-4. 원웹(One Web)

    4-1. 우주관광
    4-2. 우주관광

    5-1. 우주정거장의 현황
    5-2. 우주정거장의 미래

    6. 종합 및 시사점

    본문내용

    2. 산업의 성장 배경
    ● 비용절감에 따른 민간의 위성 시장 진입 본격화
    – 발사비용 : 15 Y 1,200만원/kg → ‘22 Y 180만원/kg (약 15%)
    – 원웹(OneWeb)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한 위성제작
    ● 저궤도 이동통신의 폭넓은 서비스 가능 범위
    – 기존 지상 이동통신 대비 월등한 커버리지, 짧은 통신지연율
    – UAM(Urban Air Mobility)의 통신수단으로 유력
    – 항공기 인터넷 서비스 진출
    ● 하나의 단말로 지상 기지국과 위성 기지국 동시 접속 예상
    – 6G시대 이동통신이 위성통신과 결합 예상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