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liver cirrhosis

  • (성인간호학실습) 간경화 케이스 스터디/ Liver cirrhosis case stud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A+ 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병태생리
    2. 합병증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와 관리

    Ⅱ. 본론
    1. 간호력
    2. 진단검사
    3. 투여 약물
    4.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5) 간성콩팥증후군 (Hepatorenal syndrome)
    간성콩팥증후군이란 간기능상실로 인해 콩팥기능상실이 초래된 것으로, 간질환의 마지막 단계인 간기능상실에서 간성콩팥증후군이 발생하면 예후가 나쁘다. 간기능상실과 관련된 진행성핍뇨성콩팥기능상실은 콩팥의 구조나 모양은 정상이나 콩팥기능상실신부전이 온 것이다. 간문맥고혈압이 발생하면 정맥류가 감소하고 이는 동맥혈액량을 감소시킨다. 우리몸은 이에 대항하여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시스템, 교감신경계 및 항이뇨호르몬을 활성화시킨다. 이는 콩팥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콩팥기능 저하를 야기한다. 이러한 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갖는다.
    • 갑작스런 소변량의 감소
    • 혈청요질소와 크레아티닌의 상승, 소변 나트륨 배설의 감소
    • 요삼투성의 증가
    간성콩팥증후군은 문맥계 간성뇌병증, 전격성간기능상실, 급성간염 또는 다른 간질환의 합병증으로도 발생된다.

    6) 자발성세균성복막염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복수가 있는 간경화증 대상자는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혈청단백 농도가 낮기 때문에 급성자발성세균성복막염에 쉽게 이환된다. 정상적으로 장에 존재하는 세균은 림프계를 거치면서 걸러지는데, 세균이 림프계를 거치지 않고 장벽을 통해 직접 복수로 들어와 염증을 일으킨다. 증상은 미열, 식욕부진과 같은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고열, 오한, 복통, 복부압통(abdominal tenderness), 강직, 정신상태의 변화 등 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진단은 배천자술을 하여 복수 내 세균배양검사를 한다. 복수 내 다형핵백혈구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MN: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로 감염 시 상승)수가 250/mm이상인 경우 진단과 함께 치료하고, *PMN이 250/mm 미만인 경우라도 발열, 복통, 압통 등의 감염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나 징후가 있을 경우 치료를 시작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간경변 (cirrhosis) Case Study

    목차

    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2.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5. 개념도(Concept Care Maps)
    6. 간호계획, 수행, 평가

    본문내용

    *만성질병, 가족력, 과거력

    -만성질병
    -가족력
    -과거력
    Known alcoholic LC, h/o pneumonia(페렴 병력), GB adenomyomatosis(담낭 선근종증)인 smoker heavy alcoholics 인 자로
    내원 3년 2개월 전 alcoholic LC 진단 받고 LMC f/u하였고
    내원 2년 2개월 전 LFT rising으로 본원 GI OPD 내원 med하였고
    내원 2년 1개월 전 pneumonia로 본원 PL dept medi하였고
    내원 2년 전부터 연고지 관계로 LC f/u 하던 중
    내원 1년 4개월 전까지 alcohol intake 하다가 general weakness, chilling sensation develop되었고 poor oral intake develop되어 물만 마시고 지내던 중 drowsy mentality develop되어 본원 ER 내원하여 fever 38.2 check, ascites study 상 PMN 1226개, lab상 myoglobin 3669, CPK 1148, Bil 20.54/14.97, ALP/AST/ACP 123/124/23 abd. CT상 r/o APN, both 소견으로 APN(급성 신우신염), SBP(자발성세균성복막염)에 의한 rhabdomyolysis(횡문근융해증), 그로 인한 hepatic encephalopathy(간성뇌증) assess하에 adm하여 management하였고 이후에도 음주 지속했고
    내원 6주 20일 전부터 항문 통증 있었고 이후부터 음주 중단하였고
    내원 6주 19일전부터 diarrhea c hematochezia(설사와 혈변)(30분 간격, 찔끔거리는 정도) develop되었고 anal abscess(항문 농양) 잡혀 있어 further manage 위해 본원 GI dept. 입원하여 manage하던 중

    출처 : 해피캠퍼스

  • 칭찬받은 A+ 간경화 case 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Ⅲ. 본론
    1. 기초자료
    2. 임상 검사
    3. 약물
    4. 간호과정

    Ⅳ. 결론 및 실습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간경화증은 만성 알콜중독증 대상자의 10~15% 정도에서 발생하며 모든 간경화증의 40%이상이 알코올과 관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 간경화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2명으로, 일본 13.2, 미국 9.5, 캐나다 6.8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1999, WHO「World Health Statistics」1997-1999) 또한 간경화증은 전신적인 증상이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므로 환자와 가족들의 간호지식을 배양하고 수행하도록 격려하여 증세가 진행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합병증을 완화 및 감소시켜 보다 안락한 삶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간경화증에 대해 알아보고 적절한 치료, 권장 생활습관 등을 습득하여 대상자에게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문 헌 고 찰
    1. 정의
    간경화는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 이는 섬유증에 의해서 혈액, 담즙, 간 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되고 간세포, 담세관, 맥관, 그물세포 등이 변할 때 발생한다. 간의 기본 구조가 변화되고 당 신생, 약물과 알코올의 해독,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흡수, 위장관 기능, 호르몬대사 등의 간 기능이 상실된다. 간경화의 문제는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문맥성 고혈압이며 문맥성 고혈압은 주로 심각한 간경화에서 발생한다.
    간경화는 만성 알코올 중독 환자의 10-15% 정도에서 발생하며, 모든 간경화의 45% 이상이 알코올과 관련되어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간경화 발생이 높다.

    [분류]

    괴사후
    화학적인 간독성 물질의 노출이나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에 이환된 경우에 발생
    담즙성
    만성 담낭염 혹은 담관폐쇄로 인한 울혈과 간비대에 의해 발병
    울혈성
    만성 우심부전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드물게 발생
    알콜성
    (Laennec’s,소결절성)
    주로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남용한 환자들에서 나타나지만 드물게는 전혀 섭취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발병. 매일의 알코올 소비량이 더 중요한 요인

    2. 원인
    간세포에 손상을 주는 바이러스, 음주, 비만, 약물 등에 의해 상처가 생긴 후 만성적인 상처와 염증에 의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딱딱한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짐으로써 정상구조가 뒤틀리고 기능이 저하된다.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