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liver cirrosis

  • [A+] 간경화증 (liver cirrho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I. 문헌고찰
    구조와 기능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검사 –
    치료
    간호

    II. 사례보고서
    간호정보조사지
    간호문제
    간호진단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구조와 특성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샘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약 1,500g이며 오른쪽 횡경막 아래에 위치하며, 위를 덮고 있다. 간은 우엽과 좌엽으로 나뉘고 우엽의 뒷면과 아랫면엔 미상엽(작은꼬리엽)과 방형엽(네모엽)이 있다. 미상엽과 방향엽의 경계 부분을 간문이라고 하며, 이 공간을 통해 정맥, 동맥, 신경, 림프관 등이 간으로 출입한다.

    간소엽
    간의 기능단위로 간의 좌우 각 엽에 5-10만개 존재하며 길이는 1-2mm로 아주 가늘고 작다.
    간소엽은 중심정맥을 축으로 그 주위에 방사성으로 배열된 간세포로, 타이어 모양으로 되어있다.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담모세관을 따라 간소엽 내의 담관으로 흐른다.
    간의 순환
    간에선 정맥혈이 간문맥을 통해 들어오고, 동맥혈이 간동맥을 통해 들어온다. 간을 순환하는
    동안 동맥혈은 풍부한 산소를 공급하고 정맥혈에 포함된 영양소는 대사와 저장과정을 거치며
    독성 물질이 해독된다. 동양혈관에 많은 쿠퍼 세포는 혈액을 통해 간으로 들어온 세균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기능
    1)탄수화물대사
    -당원생성과 저장
    -당원분해(당원을 분해하여 저장)
    -당원생산(아미노산, 젖산, 글레세롤에서 포도당 생성)
    2)단백질 대사
    -단백질 이화작용(암모니아 생성)
    -단백질 합성(알부민, 글로불린, 응고인자, 기타 효소 양성)
    3)지방대사
    -지방대사(지방산과 케톤 형성)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 인지질 합성, 중성지방 형성(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과다섭취 시)
    4)해독작용: 유해물질과 약물을 부해하여 배성
    5)담즙 생산과 분비
    -지방 유화(지방미립자의 표면장력 감소시켜 음식 잘게 부숨)
    6)빌리루빈대사
    7)저장
    8)식균작용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