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luminol

  • 일반화학실험2_루미놀의반응및응용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본문내용

    1. 실험목적
    과산화수소와 티오시안산 칼륨 사이의 진동반응과 혈흔 검사를 통해 루미놀의 화학적 발광현상의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2. 이론
    화학발광은 열이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는 화학반응에 의해서 빛이 생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발광 반응은 높은 에너지 상태로 생성물을 발생시킨다. 이 초과 에너지를 처리하기 위해 들뜬 상태의 분자는 빛을 방출한다. 만약 이 빛이 자연에서 생화학적인 반응의 생성물이라면 이 과정은 생물발광에 속한다. 이 실험은 루미놀의 화학발광을 이용해 진동반 응의 입증과 그 기본적 원리를 생각해보고 또 혈흔 검사를 통해 루미놀의 응용성을 알아본 다.
    *. 형광(flu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 / *. Jablonski diagram
    폴란드 물리학자 Aleksander Jabłoński 가 처음으로 전자의 상변이가 일어날때에 전자들의 상태를 표현해 주는 방법으로써 처음 도입하였기 때문에, Jablonski diagram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발광하는 것은 크게 형광(fluo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으로 나뉜다. 형광등의 경우 전자가 형광물질을 때려서 형광물질이 에너지를 흡수합니다. (excited states : excitons) 그리하여 흡수된 에너지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emission) 방출한다.
    이러한 총체적인 원리를 형광이라고 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