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MICU

  • 심경부감염(Deep Neck Infection)- 질병보고서, 문헌고찰_중환자실

    목차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1) 항생제 치료
    2) 외과적 배농
    3) 보조적 치료

    6. 합병증:
    1) 협공간(Buccal space)감염
    2) 견치공간(Canine space)감염
    3) 천공간감염(괴사성 근막염)

    본문내용

    심경부감염은 심경막과 그 사이의 심경부공간에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봉와직염 또는 농양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항생제의 발달로 심경부감염의 유병률도 감소하고치료 결과가 좋아졌지만 내경정맥혈전증, 종격동염, 패혈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

    경부는 밖으로는 피부가 둘러싸여 있는것이고 안으로는 점막으로 둘러싸인 원통형의 기관이다. 여기서 심경부감염이라고 하면 밖에 있는 피부와 안쪽에 둘러싸인 점막의 감염을 제외한 모든 염증성 질환을 통칭하여 말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경부 근막강 내에 염증이 파급되어 농양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간호관리학실습/QI보고서

    목차

    1. 서론
    1) 주제
    2) 팀구성
    3) 질 향상 활동 배경

    2. 본론
    1) 문헌 고찰
    2) 문제 개요 (윈인분석)
    3) 대상 및 목표설정
    4) 활동계획
    5) 개선활동 내용

    3. 결론
    1) 활동 결과
    2) 성찰일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 : 실습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손위생 수행률 향상 활동

    3. 질 향상 활동 배경 (주제선정 이유)
    병원은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환경으로 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사람들이 모여있고 수술을 비롯한 기타 여러 가지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따라서 병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원이 많아 의료기관에 입원한 후에 교차 감염, 접촉감염, 비말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심각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으며 면역력이 감소하고 있고, 각종 침습적 조작 및 다제내성 병원균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차적인 병원 감염에 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현재 실습 중인 부서는 중환자실로 L-tube 및 IV 라인, Foley 카테터, Ventilator 등 여러 기구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대부분이므로 항상 주의해야 하며, 병동 내부에 1인 격리실이 있으므로 처치 전, 처치 후에 더욱이 손 위생 및 감염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곳이다. 실제 실습을 진행하다 보면 손위생을 철저히 해야 함을 교육받음에도 불구하고 실습 학생들은 제대로 수행하지 않을 때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손위생 시점에 따른 올바른 손위생 방법의 습관화로 병원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본 활동의 목적이 있다.

    1. 문헌 고찰
    ① 손위생의 정의
    손위생은 물을 사용해 손을 씻는 내과적 손 씻기와 손 소독제를 이용한 손 소독, 수술 전 시행하는 외과적 손 씻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MICU 폐렴 간호과정 케이스 간호진단

    목차

    1. 환자의 일

    2. 신체사정

    3. 문헌고찰

    4. 진단검사

    5. 약물

    6. 간호 자료

    7. 대상자의 현재 상태
    –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8. 간호과정

    본문내용

    환자의 일반적 사항
    성명
    이00
    성별/나이
    M/66


    키/몸무게
    171cm/67kg
    입원일
    2023.04.
    직업

    결혼
    상태
    기혼
    흡연
    과거 흡연력 O
    음주
    X
    교육정도

    정보제공자
    보호자
    입원 진단명
    HAP(병원 감염성 폐렴 )
    주호소
    fever, dyspnea
    입원 경위
    Sacrum(천골) fx. 이후 8일 정도 00병원 정형외과에서 입원 가료 중 fever 있어 CT상 폐렴 소견 있고 2023. 04. 23호흡곤란과 BP 떨어지면서 shock 상태보여 00대병원 ER통해 입원하였음. 지속적으로 산소요구량 상승하여 MICU로 전실함.
    과거력(진단받은 질환)
    HTN(고혈압)
    Cholangiocarcinoma(담관암)
    입원 전 복용 약물
    동아슈프락스캡슐-항생제 엑스페인정-진통제
    엑소페린정-근이완제 펜넬캡슐-간보호제
    타이록신캡슐-항생제 소말겐정-소염진통제
    리리카캡슐-진통제 코디오반정-고혈압치료제
    무코스타정-위장약 우루사정-간보호제
    과거
    수술력
    없음
    알레르기
    없음
    2. 신체사정
    영역
    내용
    상태진술
    전반조사
    체중증가, 감소, 외양, 자세 등
    입원 초기-171/80kg-> 현재 72kg으로 감소, general condition: poor, general weakness: severe, mild, 양손 신체보호대 적용중
    피부
    색깔, 탄력, 손발톱 상태
    사지 pitting edema 2+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