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Mobitz

  • 부정맥 정리 요약

    목차

    I. 부정맥 [Arrhythmia]
    1. 정의
    2. 증상
    3. 진단 및 검사
    4. 원인
    5. 치료
    6. 경과/합병증
    7. 예방방법

    II. 부정맥의 종류 및 치료
    1. 심방 부정맥 (Aterial Dysrhythmias)
    2. 서맥 (Bradycardia)
    3. 빈맥 (Tachycardia)
    4. 발작성심실상성 빈맥
    5. 심방조동 (Atrial Flutter)
    6.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7. 심실조기수축 (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
    8. 심실성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VT)
    9. 심실세동 ( Ventricular fibrillation. VF)
    10. 1도 방실차단 ( Frist – Degree AV Block)
    11. 2도 방실차단
    12. 3도 방실차단 ( Third – Degree AV Block, Complete Heart Block)

    본문내용

    동방결절, 방실결절 이상, 자율신경계 영향에 의해 심실 수축이 60회/분 미만으로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심박수의 저하 ⟶ 심박출량의 저하 ⟶ 혈압 저하 ⟶ 장기로의 관류 저하 ⟶ VT or VF ⟶ 사망
    증상
    흉통(가슴이 두근거린다), 의식 소실, 어지러움, 피로감, 인지장애,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
    ⟹ 증상이 없다면 경과관찰.
    단, 무수축 과거력, 모비츠2 또는 3도 방실 차단(완전 방실 차단)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이 없어도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진단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SAECG(신호평준화 심전도 검사), 자율신경계검사, 심장전기생리학검사 등
    ⭐ SAECG, Signal-Averaged Electrocardiography
    전기적 신호의 평균화는 임의성분(노이즈)를 제거하여 ECG신호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QRS파의 끝 또는 ST segment의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낮은 전압의 전위가 감지될 수 있다록 한다.
    치료
    1) 아트로핀 투여
    2) 아트로핀 효과를 기다리는 동안 제세동기 pacer 모드 사용
    3) pacer 즉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아트로핀을 3~5분마다 반복하여 총 3mg 까지 투여한다.
    3도 방실차단에서 pacer 가 준비되지 않았을 경구 이소프로테레놀 사용을 고려한다.
    3도 방실차단을 동반한 심실이탈율동(ventricular escape beat)은 리도카인 사용금지.
    ⟶ 증상이 있는 경우 아트로핀 투여 후 pacing 시행한다.
    ⟶ 회복이 안되는 경우 도파민이나 에피네프린 투여한다.
    4) 혈압이 같이 낮아졌을 경우 도파민을 추가로 투여한다.
    ⟶ 심각한 저혈압의 경우 에피네프린으로 치료한다.
    ⟶ 급성관상동맥 허혈 or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 아트로핀 투여 신중하게 할 것.
    ⟶ 심장이식 환자 : 아트로핀 투여 시 심박수가 감소 가능성 높음
    5) 이후 경정맥 심박동 조율로 전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