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N/P ratio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9. Polyethylenimine (PEI)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세포 내 siRNA 전달 및 RNA 간섭 평가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6. References

    +엑셀 계산 과정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양이온성 branched polyethylenimine (B-PEI)를 이용해 siRNA/PEI 나노입자를 만들고, GFP-silencing siRNA를 암세포 내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RNA interference (RNAi) 간섭 효율을 세포 내 GFP 발현량의 감소로 확인한다. 이 때 나노복합체의 N/P ratio에 따른 RNA 간섭 효율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실험 결과는 두 가지 측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형광현미경으로 얻은 형광이미지를 분석했을 때, Control과 Free siRNA sample에서는 형광이 비슷한 정도로 관찰되었고 N/P ratio=5에 비해 N/P ratio=20의 형광이 적게 보였다. 이를 통해 RNA 간섭 효율은 N/P ratio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했으며, GFP 발현이 감소했다는 것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flow cytometer로 측정하여 도출한 N/P ratio에 따른 GFP 발현량(%)은 control, free siRNA, N/P=5, N/P=20에서 각각 100%, 102.5%, 114.3%, 57.8%였다. GFP 발현량은 N/P=5, free siRNA, control, N/P=20 순으로 감소했다. 이를 통해, GFP 발현량은 N/P ratio=5일 때보다 N/P ratio=20일 때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양이온성 branched polyethylenimine (B-PEI)를 이용해 GFP-silencing siRNA를 암세포 내로 전달하고 RNA interference (RNAi) 간섭 효율을 세포 내 GFP 발현량의 감소를 통해 확인한다. 이 때 나노복합체의 N/P ratio에 따른 RNA 간섭 효율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1. N/P ratio에 따른 Branched PEI의 RNA 간섭 효율 변화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8. Polyethylenimine (PEI)을 이용한 siRNA 응축과 나노 입자 형성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1) 각 N/P ratio에 따른 크기 및 zeta-potential 값을 비교하고 어떤 경향성이 있는지 찾아보시오.
    2) 저분자량 PEI와 고분자량 PEI를 사용하였을 때 나노입자의 크기를 비교하시오.

    5. Discussions
    1) siRNA의 작용원리에 대해 조사하여 introduction에 쓰시오.
    2) N/P ratio, PEI 분자량이 siRNA/PEI 나노복합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찾아보시오. (크기 및 표면 전하 외에도 영향을 받는 다른 것이 있으면 찾아보아라.)
    3) 상용화된 양이온성 유전자 전달용 고분자에 대해 좀 더 조사하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이번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유전자 전달용 양이온성 고분자인 polyethylenimine (PEI)을 이용해 siRNA/PEI 나노입자를 만들고, DLS와 zeta potential 측정을 통해 결과를 확인해보았다. 또한 저분자량 (low molecular weight 0.8 kDa) PEI와 고분자량 (high molecular weight 25 kDa) PEI를 사용하였을 때의 나노입자 크기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 N/P ratio가 5, 10, 20으로 증가함에 따라, 0.8 kDa의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각각 303.8 d.nm, 677.4 d.nm, 452.8 d.nm였다. 25 kDa의 경우,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각각 383.4 d.nm, 677.4 d.nm, 452.8 d.nm였다. 두 결과 모두 특정한 경향성을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이론적인 결과는 N/P ratio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입자의 크기는 감소해야 한다. 다음으로 N/P ratio가 5, 10, 20으로 증가함에 따라, 0.8 kDa의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zeta-potential은 각각 -0.676 mV, 0.079 mV, 6.001 mV였다. 25 kDa의 경우,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zeta-potential은 각각 9.33 mV, 11.8 mV, 4.74 mV였다. 두 결과 모두 Free-siRNA의 zeta-potential이 -8.03 mV인 것에 비해 대체적으로 양전하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N/P ratio에서 저분자량과 고분자량 PEI를 사용한 나노 복합체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저분자량 PEI를 사용했을 때가 고분자량 PEI를 사용했을 때보다 나노 입자의 크기가 더 컸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