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Neonatal Jaundice

  • 신생아 황달 대상자 간호과정(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진단명
    #1 체내 빌리루빈축적과 관련된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2 광선요법 부작용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간호과정 적용 1.
    Subjective data
    – 보호자 반응
    ”모유 먹이면 황달이 심해진다는데 모유수유를 계속해도 되는 건가요“
    ”아기 피부가 너무 건조해서 로션이나 크림을 발라주고 싶어요“

    Objective data
    1. 일반적인 사항 :
    – 이름 : 김00 / 나이 1세()02월 1일 35주 6일 출생0 / 입원일 : 2024년 02월 5일 오후2시(/ 혈액형 : Rh+ A형(모 : Rh+ O형) => ABO 용혈성 빈혈 가능성

    2. 출생력 : 8월1일 오후2시 출생한 여아 / 분만형태: C/S(CPD) / 재태기간: 35주6일 / 출생체중: 2.8Kg

    3. 건강력
    – 입원동기 : 2월5일 7AM에 측정한 T-bil: 13.5mg/dL(경피적 황달 측정기)으로 체크되어 퇴원 Hold하고 지켜보다 1PM에 측정한 황달혈액검사 결과 16.0mg/dL(capillary tube)으로 더 높게 나와 Photo Tx 위하여 신생아중환자실로 입원함

    – 현제병력
    ① 주호소 : 황달

    ② 진단명 : Neonatal Jundice

    ③ 신체사정
    – 피부: 피부색- Icteric(허벅지까지 황달이 보임) , 피부를 눌러보면 바탕이 노랗다(황달이 허벅지까지 관찰됨)
    – 배변양상: 약간 묽고 녹색이 섞인 노란색 변
    – 눈- 양쪽 눈 모양이 대칭적이며 공막이 노랗다

    <중략>

    간호목표
    -장기 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황달의 분포가 얼굴과 목까지로 관찰될 것이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총 빌리루빈 수치가 6mg/dl이하로 관찰 될 것이다.
    ② 대상자는 일주일이내 공막색이 정상색으로 관찰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독자적 계획]
    <사정>
    1. 입원기간동안 매일 10:00~22:00사이에 대상자의 Vital sign을 4시간마다 측정 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실습]]아동간호학/CASESTUDY/생리적황달/간호과정2개/황달, 비효과적수유양상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입원 동기 및 주 호소
    20**년 **월 **일 35+6wks, 2270g으로 태어난 000아기는 생후 3일 째에 육안으로 황달 관찰되어 TB 12.09mg/dL (jaundice)

    대상자의 질병 소개:<황달 neonatal jaundice=고빌리루빈혈증>
    1. 원인과 병태생리
    적혈구가 분해되어 생긴 간접빌리루빈은 알부민과 결합 후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하여 담즙의 일부로 간에서 대사될 수 있도록 처리된다.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 그 후 담즙은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운반되어 배설된다.
    신생아 황달(생리적 황달)은 생후 3~4일경에 아기의 피부가 밝은 오렌지 색이나 노란색을 띠다가 생후 7~10일경에 저절로 사라지며, 이는 정상 신생아의 60~80%에서 나타난다. 이 외의 황달은 병적 황달이라고 한다.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는 경우,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기준 이상으로 높은 경우, 생후 2주 이상 황달이 지속되는 경우, 직접 빌리루빈의 수치가 올라가는 경우 병리적 황달을 의심한다.

    2. 증상
    : 눈 흰자위와 얼굴이 노랗게 변하고, 몸통과 사지까지 전신적으로 퍼질 수 있다. (황달은 머리->다리 방향으로 진행됨)
    이 외 각 황달에 따른 체중감소, 탈수, 옅은 대변색, 담즙 정체 등의 증상이 있다.
    핵 황달: 빌리루빈이 BBB를 넘어 뇌에 빌리루빈이 축적되면서 뇌가 손상
    →놀람반사가 약하고, 아기가 잘 먹으려고 하지 않을 수 있다.
    →치료하지 않으면 발달지연, 뇌성마비, 발작, 사망까지 초래될 수 있다.
    →만삭아 기준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20mg/dL 이상일 때 발생할 수 있다.

    3. 치료 및 간호
    -생리학적 황달
    ‣황달이 의심되면 피부를 가볍게 눌렀다가 떼었을 때 피부색을 사정한다.
    ‣한랭 스트레스는 간접빌리루빈 수치를 증가시키므로 신생아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