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NICU

  •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실습A+ 자료, 신생아실 NICU 간호과정 4개 및 질병고찰

    목차

    A, 간호사정
    1. 출생력
    2. 건강력
    3. 신체사정
    4. 검사결과
    5. 투여약물

    B. 질병

    C. 간호과정

    D. 참고문헌

    본문내용

    A. 간호사정

    이름/성별
    / F
    생년월일
    2023.02.10. 8:15AM
    입원일
    2023.02.10
    진단명
    seizure
    사정일
    2023.02.13.~02.16
    입원일
    입원 제 6일째
    아버지 연령
    30세
    어머니 연령
    32세
    정보제공자

    1. 출생력

    제태 기간
    36+1wks
    분만형태
    arrest of dilatation
    C/S
    출생 시 체중
    2.78kg
    출생 시 신장
    48cm
    출생 시 두위
    32cm
    APGAR SCORE
    1분후: 5점
    5분후: 7점
    출생 시 아기 상태
    출생 당시 activity and crying moderate, whole body cyanosis 보여 PPV 실시 후 회복되어 신생아실 입실함

    2. 건강력
    1) 현병력

    발병시기 및 양상
    2023년 2월 10일 출생당시 activity and crying moderate로 보였으며 whole body cyanosis 보여 PPV 실시후 회복되어 신생아실 입실 후 2/13일날 신생아실에서 퇴원함.
    2/13일 퇴원 후 조리원 입소하자마자 떠는 증상보임
    주호소 및 현상태
    퇴원일 조리원에서 clonic movement가 10-20분 간격으로 반복되었음.
    몸통이 뒤로 젖혀지고 팔다리를 떠는 모습을 보이고 잘 때 깨있을 때 모두 나타나 R/O seizure으로 f/e를 위해 재입원함
    입원 경로
    조리원 연계 local 병원에서 큰병원 권유받아 NICU로 direct adm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Infantil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에 대한 질병보고서

    목차

    1. 정의
    2. 빈도 및 예후
    3. 증상 및 징후
    4. 진단검사
    5. 의학적 치료
    6. 간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게서 주로 발병되며 폐의 지속적인 팽창, 폐포의 확장을 유지시켜주는 계면활성제의 생성, 분비 부족으로 인해 폐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여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 계면활성제: 임신 20주 이후부터 생성되어 34주가 되어야 폐포 내로 충분히 분비되어 제 역할을 한다.

    2. 빈도 및 예후
    단 기간의 치료에 반응한 경우 큰 문제는 없으나 드물게 기흉이 동반되기도 하며 전신의 저산소증에 의한 뇌, 신장 등의 장기의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호흡곤란이 심하여 인공호흡치료를 장기간 하게 되는 경우 미숙아 망막증이나 기관지폐이형성증 같은 만성폐질환이 동반될 수 있다.

    3. 증상 및 징후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신생아는 질병의 중증도(폐의 미숙 정도, 관련 질환 요소, 임신나이)에 따라 급성으로 또는 수 시간에 걸쳐 다양한 호흡곤란의 양상을 가진다. 폐의 변화로 인한 증상은 보통 출생 직후 분명하게 정상 호흡과 피부색을 보이는 영아에게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몇 시간 안에 호흡이 점차 더 빨라진다(>60회/분). 흉골 밑, 늑골 위, 늑골 아래 또는 늑골 사이에서 수축을 보일 수 있으며 이 시기에는 영아의 피부색이 정상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저체중 출생아 NICU case 문헌고찰, 간호력, 진단검사, 약물,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진단검사 기록
    4. 투여 약물
    5. 간호과정

    Ⅲ 결 론
    1. 느낀점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저출산 현상과 더불어 만 35세 이상의 고령 출산이 증가하면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WHO에 따르면 2015년 기준 2,000만 명 이상의 아기가 저체중아로 태어났으며 전 세계적으로 모든 출생의 약 7분의 1을 차지한다. 매년 사망하는 전 세계 250만 명의 신생아 중 80% 이상이 저체중아이며, 생존하는 저체중 출생아는 발육부진,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을 포함하여 발달 및 신체적 건강이 정상 신생아에 비해 나빠질 위험이 더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계청 출생통계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은 2021년 기준으로 0.808명으로 출생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이다. 이에 비해 출생체중이 2,500g 이하인 저체중 출생아 수는 2020년 기준 총 출생아의 6.8%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저체중 출생아는 저출산에 따른 산모의 노령화와 불임의 증가, 또 이에 따른 인공 임신술에 의한 다태아 증가, 조산 등이 그 원인으로 알려졌다. 산모의 출산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기분만이나 제왕절개 확률이 높아지며, 산전합병증 발생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고령 출산으로 인한 저체중아 및 조산아 출산율은 과거에 비해 최근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하는 저체중아 출산에 대응하여 각종 건강문제와 생명 손실을 중이기 위해 연구가 필요하다.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합계출산율

    통계청,「인구동향조사」- 저체중아 비중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저체중 출생아 (Low birth weight infant)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실습(NICU), RDS(호흡곤란증후군) CASE STUDY, 부족한 계면활성제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간호과정 1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기 신생아는 C.C grunting으로 출생 1시간 후부터 nasal flaring, tachypnea, chest retraction 보였다. 타 병원 입원하여 RDS 진단하에 surfactant 1회 사용 및 ventilator care 하였으나 증상 호전 없어 proper management 위해 ETT intubation된 채로 ambubagging 하면서 본원 ER 통해 에 입원하였다. vent 연결(SIMV 70% 50회 PIP 20 peep 4)하였으며 폐 부위 청진, ABGA 정도 모니터링 하며 계속해서 호흡 상태 지켜보았다. ABGA 결과 PH 7.269, PCO2 49.5mmHg, PaO2 42mmHg로 호흡성 산증과 함께 저산소증을 보였다. 적절한 산소공급과 흉부 물리요법 시행 후 RDS 징후, 증상 사정하였다. first meconium& first urine passed 하였으며 anti Tx 시작하였다. 약간의 blood 섞인 secretion 제법 나와 suction 하였으나 이후 SpO2 회복되지 않고 whole body cyanotic color change도 보여 다시 ambubagging 반복하여 시행하며 vent mode 조정하였다. Newfantan inhalation 시행 후 SpO2 97~98% cheked 되며 이후 99~100% 잘 유지되었다. 치료적 NPO 진행 중이며 NG tube 적용 중이다.
    대상자는 OO병원에서 2023년 2월 23일 13시 24분에 Repeat C/S으로 태어나 grunting 보여 본원 adm하였다. 산모 산과력 2-0-0-1이며 산모병력 2013년 S.A 1# 있었다. 재태연령은 38주 5일째로 태어났을 시 체중 3080g, 키 49.5cm, 두위 35cm 흉위 31cm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