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NSCLC

  • 응급실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정보조사
    3. 약물정리
    4. 처치 및 치료
    5. 진단적 검사 결과
    6. 간호진단과 과정(2개)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폐는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으로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관으로 가슴우리 안에 위치하며 오른쪽, 왼쪽 허파로 한 쌍을 이룬다. 가슴우리(흉곽) 안에 있으며 심장을 사이에 두고 오른허파와 왼허파로 나뉘어 존재한다. 가로막 바로 위에서 빗장뼈 위쪽까지 걸쳐서 위치한다.

    성인의 경우 약 500~600g 정도로 가벼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허파 꼭대기는 빗장뼈보다 2~3cm 위에 있고 오른허파의 꼭대기가 왼허파 꼭대기보다 조금 높다. 허파 바닥은 가운데 빗장뼈선에서 제6갈비뼈 사이에 위치하고 오목한 형태이다. 허파의 안쪽 측면 중앙에는 기관지와 혈관들이 출입하는 허파문이 있고 기관지 이하 호흡기는 허파 속에 들어 있다. 하위 기관으로 세기관지, 종말 세기관지, 호흡 세기관지, 허파꽈리관, 허파꽈리가 있으며 생명현상 유지를 위하여 산소를 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또한 폐에서는 체액 성분 활발하게 상피세포를 통해 흡수 혹은 배출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형 약물의 전달통로가 될 수도 있다.

    2. 질환의 병태생리
    ① SCLC (small cell lung cancer)
    폐에서 기원한 악성 종양은 조직형에 따라 크게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과 소세포 폐암이 아닌 다른 종류의 폐암들을 통칭하는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으로 구분한다. 소세포폐암은 원발성 폐암의 일부로,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특징적인 소세포의 모습을 보이는 암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영적간호학실습 비소세포폐암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 3가지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목차

    1. 질병에 관한 문헌고찰

    2. 영적간호학실습 사례연구

    2.1. 간호사정
    2.2. 신체사정
    2.3. 검사결과
    2.3.1. 일반검사(혈액, 소변, 혈청)
    2.3.2. 특수검사
    2.4. 최종 진단명
    2.5. 치료방법
    2.5.1. 치료요법
    2.5.2. 투여약물
    2.6. 영적요구 사정
    2.7. 영적요구도 사정
    2.8. 자료분석 기록양식
    2.9. 간호과정
    2.9.1. 신체적 간호과정
    2.9.2. 심리사회적 간호과정
    2.9.3. 영적 간호과정

    3.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론적 배경
    대상자 현황
    1. 정의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폐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폐암의 종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非小細胞)폐암과 소세포(小細胞)폐암으로 구분한다. 폐암 가운데 80~85%는 비소세포폐암이며, 이것은 다시 선암(샘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으로 구분된다.
    NSCLC, c multiple meta.(LN, Rt. pleura), Rt. main bronchus invasion
    2. 원인 및 병태생리
    흡연은 폐암의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이다. 폐암 발생의 약 70%가 흡연과 연관되어있다. 흡연 외의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간접흡연, 석면에 지속적 노출, 방사성 동위원소인 라돈이 있다. 디젤 연소물, 대기오염 먼지 중에는 중금속 등 발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장기간 다량의 노출이 있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만성 폐쇄성 폐 질환과 폐섬유화증 등 폐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폐암의 발병과 연관된다. 폐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즉 유전적 요인도 폐암 발생에 관여한다.

    3. 임상증상 및 증후
    [진행 단계별 증상]
    – 국소적으로 암종이 커져서 생기는 증상 :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통 등
    – 주위 조직을 침범하여 생기는 증상 : 쉰 목소리 (후두신경)
    – 식도 침범 : 연하곤란(삼키기가 어려움), 상대정맥증후군
    – 전이 때문에 생기는 증상 : 뇌 전이에 따른 뇌 기능 장애와 두통, 구토, 뼈 전이에 따른 뼈의 통증 등
    – 암세포에서 생성되는 물질에 의해 생기는 증상 : 식욕부진, 발열, 이상 호르몬 생성
    [일반적 증상]
    – 기침, 피 섞인 가래, 객혈, 호흡곤란, 흉통, 쉰 목소리, 상대정맥증후군, 두통, 오심, 구토, 뼈의 통증, 골절
    기침, 호흡곤란, 흉통, 쉰 목소리 등
    4. 진단적 검사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