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NSICU에서 볼 수 있는 환자들의 간호진단, 과정 등
– 검사 정상치와 결과 분석
– 치료식이 종류와 적용, 열량 및 특이사항
– 약물 정리
– 간호사례 Case Study (건강력, 치료과정 등)
– 간호과정 2가지
1) 비효과적 호흡양상 r/t 면역력 저하로 인한 기도 내 분비물 증가
2) 감염의 위험 r/t 복합적 요인 (침습적 처치, 영양 불량, 면역 저하)
– 배액관 관리: Natural Drainage System
본문내용
병실
환자명
주 진단명
정의 및 증상
병태생리
간호문제
N
S
I
C
U
XX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두개내 열린 상처가 없는 외상성 경막하출혈 (T-SDH)
아래작성
XX
Intracerebral hemorrhage 뇌출혈 (ICH)
XX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brain 2차적인 악성 뇌종양 (전이된)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without open intracranial wound 두개내 열린 상처가 없는 외상성 경막하출혈 (T-SDH)
1) 정의
: 외상성 경막하 출혈이란 교통사고와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 안쪽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와 뇌의 바깥쪽 경막 사이에 피가 고이는 질환이다. 경막하 혈종은 뇌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긴급한 상황에 해당한다. 조치가 늦어지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급성 경막하 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dura)이라는 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열되어 다량의 급성 출혈이 발생하여 뇌와 경막 사의의 경막하 공간(subdural space)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로서, 흔히 뇌 실질의 좌상(타박상)과 파열, 뇌내출혈을 동반한다. 결과적으로 신체의 반응에 기인하여 ICP상승과 혈종이 형성된다. 뇌는 저산소증으로 인해 국소 손상, 출혈, 그리고 순환장애에 대한 반응으로 부종이 나타나며, 세포손상과 저산소증은 세포독성 부종을 유도하는 세포막의 투과력을 증가시킨다. 손상된 모세혈관은 투과성이 높아져서 간질강으로 수분이 빠져나가고, 수분누출은 ICP 상승에 기여하는 혈관성 부종을 초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