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Ⅱ. 간호과정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가슴이 꽉 막힌 것처럼 답답하고 숨이 잘 안 쉬어져.”
“누워 있을 때 더 심해지는 것 같아.”
“밤에 자려고 하면 미세하게 아프더라고.”
객관적 자료
– NSTEMI, ICMP, HTN, DM, CKD
– CAG 상 mLAD CTO with 3VD 확인되어 OPCAB 시행함.
– Cardiac Marker 수치: CK-MB, Troponin-I의 상승.
1) 5/14 CK-MB: 3.750
2) 5/16 Troponin-I: 3.352
3) 5/18 CK-MB: 3.720, Troponin-I: 1.761
4) 5/19 CK-MB: 2.510, Troponin-I: 2.232
5) 5/20 CK-MB: 2.320, Troponin-I: 2.485
– EKG 검사 결과 부정맥 관찰됨.
1) 5/21 LVH with repolarization abnormality, A-fib
2) 5/23 ST & T abnormality, Sinus rhythm with 1st degree AV block
– 5/17 2DE(EF = 34.6%)
1) ICM in multivessel territory
2) Diastolic dysfunction: Gr 1a
– 심계항진 관찰됨.
– 호흡곤란, 피로, 기좌호흡 등의 증상 관찰됨.
간호진단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1)
단기/장기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조직관류 감소로 인한 통증 및 호흡곤란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정상적인 EKG 리듬을 보일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범위 내에 있는 V/S, SpO2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1. 호흡수, 리듬과 호흡음을 사정하고,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ND)과 좌식호흡의 발생을 확인한다.
2. Chest pain의 정도, 위치, 지속시간, 방사통 등을 사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