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NSTEMI

  • 심근허혈로 인한 급성통증 (간호진단 4개+간호과정1개+DAR 기록)

    목차

    없음

    본문내용

    2) 시뮬레이션 사례 분석 및 간호과정 적용
    (1) 문제확인을 위한 개념지도 작성

    관련 문제 또는 간호진단
    – 급성통증
    근거자료
    ① NRS: 8점 (우측 어깨, 휴식 시에도 통증 지속, 움직이면 통증 악화)
    ② 1시간 전 chest pain 호소(demerol
    50mg IV)
    ③ v/s(120/80-85-36.7-92)

    관련 문제 또는 간호진단
    · 심장 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
    근거자료
    -병력: 2vessel disease S/P PCI
    (2017)
    – EKG 결과: ST elevation,
    anteroseptal infarct(STEMI)
    – 수술 위해 일주일 전 aspirine
    100mg, plavix 75mg
    관련 문제 또는 간호진단
    – 지식 부족
    근거자료
    – “수술이 잘못된 거 아니에요?”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케이스스터디/최종석차 과탑/A+과제] NSTEMI, Acute Subendocardial Myocardial Infarction (간호진단2. 간호과정2)

    목차

    ■ 서론
    Ⅰ.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 본론
    Ⅰ. 간호력
    Ⅱ.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Ⅳ. 투약력
    Ⅴ. 간호과정

    ■ 결론
    Ⅰ. 참고 자료
    Ⅱ. 소감

    본문내용

    Ⅰ.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심근경색증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의미하며 2015년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심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할 만큼 최근 중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사실 이전에 내과 병동에서 실습을 하면서 심근경색증으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사례연구를 계획하였다가 치료 후 증상이 급격히 완화되는 심근경색증의 특성 상 실습평가에서 요구하는 개수의 간호진단을 도출하기에 부적절하는 이유로 이를 중단하였던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인하대학교병원 EICU-A 에서 실습을 하면서 수간호사 선생님께서는 나의 이러한 과거 경험에 대하여 그릇된 부분을 짚어 주셨고 심근경색증 환자를 나의 사례연구 대상자로 정해주셨다. 따라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심근경색증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이와 함께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며 간호대학생로서 수행 가능한 몇 가지 간호행위를 계획 및 수행하는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서 환자의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되고자 이번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문헌 고찰

    ▶ 심장의 구조 및 각 기관의 명칭과 기능 (Structure Of Heart & Name and Function of Each)
    우리 몸의 심장은 무게 300g 의 비교적 작은 근육기관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머금은 혈액을 온몸으로 뿜어내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실은 혈액을 다시 폐로 순환시키는 일종의 펌프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심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조의 명칭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실습 심혈관계 심근경색 NSTEMI 케이스(간호과정 3개)

    목차

    Ⅰ.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Ⅱ. 간호과정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가슴이 꽉 막힌 것처럼 답답하고 숨이 잘 안 쉬어져.”
    “누워 있을 때 더 심해지는 것 같아.”
    “밤에 자려고 하면 미세하게 아프더라고.”

    객관적 자료
    – NSTEMI, ICMP, HTN, DM, CKD
    – CAG 상 mLAD CTO with 3VD 확인되어 OPCAB 시행함.
    – Cardiac Marker 수치: CK-MB, Troponin-I의 상승.
    1) 5/14 CK-MB: 3.750
    2) 5/16 Troponin-I: 3.352
    3) 5/18 CK-MB: 3.720, Troponin-I: 1.761
    4) 5/19 CK-MB: 2.510, Troponin-I: 2.232
    5) 5/20 CK-MB: 2.320, Troponin-I: 2.485
    – EKG 검사 결과 부정맥 관찰됨.
    1) 5/21 LVH with repolarization abnormality, A-fib
    2) 5/23 ST & T abnormality, Sinus rhythm with 1st degree AV block
    – 5/17 2DE(EF = 34.6%)
    1) ICM in multivessel territory
    2) Diastolic dysfunction: Gr 1a
    – 심계항진 관찰됨.
    – 호흡곤란, 피로, 기좌호흡 등의 증상 관찰됨.

    간호진단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1)

    단기/장기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조직관류 감소로 인한 통증 및 호흡곤란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정상적인 EKG 리듬을 보일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범위 내에 있는 V/S, SpO2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1) 진단적 지시
    1. 호흡수, 리듬과 호흡음을 사정하고,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ND)과 좌식호흡의 발생을 확인한다.
    2. Chest pain의 정도, 위치, 지속시간, 방사통 등을 사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NSTEMI)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 분담주제 보고서

    목차

    1. NSTEMI 정의
    2. NSTEMI 병태생리
    3. NSTEMI의 임상증상
    4. NSTEMI의 진단적 검사
    5. NSTEMI 주요 치료 및 간호

    본문내용

    1. NSTEMI(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의 정의
    NSTEMI는 한 개 또는 2개 이상의 관상동맥질환(플라그 침식, 협착, 파열, 박리)과 혈전에 의한 혈관의 부분적 폐쇄를 동반한다. 이로 인해 심근에 혈액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산소와 영양공급이 차단되어 심근조직에 괴사를 초래한다.

    2. NSTEMI 병태생리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등으로 인한 혈관내피세포 손상으로 동맥혈관 내피 아래 지방이 쌓이는 죽경화가 발생한다. 죽경화 병소는 지방, 혈전, 칼슘축적, 손상된 조직 등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동맥벽이 검고 단단해진다. 또한 죽경화로 인한 동맥내벽 손상은 다량의 혈소판을 내벽에 축적시키고 혈전을 형성한다. 형성된 혈전은 동맥벽에 붙어 동맥내강을 좁히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 내강의 부분적 폐색이 일어난다. 폐색으로 인해 허혈이 발생하고, 허혈로 인한 심근손상은 심근의 산소 공급과 요구 사이의 불균형을 만들어 심근 괴사를 발생시킨다. 괴사조직은 수축되고 반흔 조직을 형성하는데 반흔이나 섬유성 심근은 딱딱해져 심장의 수축과 이환 능력을 상실시킨다. 이 변화로 인해 좌심실 기능이 감소하고 심부전을 야기하여 사망률과 이환율이 상승하게 된다.

    3. NSTEMI의 임상증상
    1) 통증
    임상적인 주요 증상은 30분 이상 계속되는 가슴통증이나 흉부압통이다. 심근경색증의 흉통은 주로 복장뼈 아래의 압박감으로 나타나며, 왼팔과 등, 턱으로 방사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