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OMAHA

  •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_모자보건 적용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2. 본론
    1) 문헌고찰
    2) 사례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5) 우선순위 설정 (임상실습지침서 p56 참조)
    6) 목표 설정
    7) 방법 및 수단의 선택
    8) 계획 및 평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출산률과 결과 해석(통계청 자료 참조)

    위 그래프는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2020,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합계출산율은 가임여성(15~49세) 한 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며,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8년 합계출산율은 0.977로 1.0명대 이하로 떨어졌다. 이는 출산통계 작성(1970년) 이래 최저치이다. 2020년 총 출생아 수는 27만 2천 3백 명으로 전년보다 -10.0% 감소하였고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전년(0.92명) 보다 0.08명 감소하였다.
    또한 OECD회원국과의 합계출산율 비교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 우리나라 저출산 고령화 추이와 결과 해석(통계청 자료 참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저출산은 합계출산율이 2.1명 이하인 현상을, 초저출산은 합계출산율 1.3명 이하인 현상을 뜻한다. 앞선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이미 2009년 이전부터 초저출산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통계청(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 전체 인구의 7.2%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8년 14.3%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여 2021년에는 16.5%를 차지하였다. 이후 2060년에는 43.9%로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2005년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1.08명)에 도달함으로인해 한국사회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 확산과 평균수명연장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고려화 사회로 진입하여 현재 추세가 지속 될 경우 총인구 감소와 함께 생산 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평균 근로 연령 상승으로 저축, 소비, 투자 위출 등으로 경제 활력이 저하되어 국가경쟁력이 약화될 전망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정간호케이스

    목차

    1. 사례 대상 가족
    1) 가족간호 사례
    2) 대화

    2. 가족 간호 사정
    1) 프리드만의 가족사정 모델
    2) 김의숙 가족 사정
    3) 가족 연대기
    4) 가족 구조도
    5) 가족 밀착도
    6) 외부체계도
    7) 사회지지도
    8) APGAR 사정도구

    3. 가족 간호 진단
    1) OMAHA 진단
    2) 가정간호 분류체계(HHCCs)
    3) NANDA 진단
    4) ICNP 가족현상

    4. 가족 간호 계획
    1) 목표
    2) 중재계획
    3) 평가계획

    본문내용

    장○○(54세, F) 씨는 당뇨, 고혈압을 가진 상태이며 neurogenic bladder(신경인성 방광) 진단받고 한 달에 1회 Foley catheter 관리 및 교환 위해 동산의료원 가정간호를 받는 중이다. 약 23년 전 교통사고로 인해 paraplegia 상태로 상체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wheel chair ambulation만 가능한 상황이며 혼자서는 거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오랜 시간 하체를 사용하지 않아 하지는 매우 약화되어 있고 운동부족으로 상체는 비만인 상태이며 상체비만으로 인해 복압이 높아져 foley catheter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동이 불편하여 체위 변경에 어려움이 있어 욕창 발생 위험이 매우 높고 욕창발생으로 인해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다. 또한 당뇨, 고혈압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당뇨,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이며 혼자 용변을 보러 가지 못해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다.

    대상자 장◯◯씨의 과거력으로는
    1988년 Breast Cancer로 군위병원에서 Rt. mastectomy 시행하였고
    1990년 Lt. ovarian teratoma 진단받고 LSO(좌측 난관난소절제술)시행 받았고
    1993년 TA로 인한 spinal cord injury로 paraplegia있어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2005년 Bladder stone 수술 받았으며
    2013년 12월까지 paraplegia state로 인한 pressure ulcer로 OP#6
    (1994년 pressure ulcer Lt. ischial tuberosity로 debridment & glumaximus rotation flap 시행
    2006년 pressure ulcer Lt. ischial tuberosity로 primaru closure 시행 후 tolerable하게 지내다가
    2012. 5. 11 Lt. ischial tuberosity의 pressure ulcer로..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