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Pap smear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소변검사,객담검사,뇌척수액검사,혈액배양검사 등 정리/임상적 의의/ 진단 소변검사 해석, 결과(잠혈,pap smear)

    목차

    1. 소변검사

    2. 객담검사

    3. 뇌척수액 검사

    4. 혈액미생물배양 및 감수성 검사

    5. 대변검사
    1) 기생충 검사
    2) 잠혈

    6. 세포 및 조직검사
    1) PAP 도말검사
    2) 생체조직검사

    7. 내시경검사
    1) 기관지경 검사
    2)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술
    3) 대장내시경 검사

    본문내용

    소변 수집은 어느 때나 가능하지만 가장 좋은 것은 아침 첫 소변이다. 아침 첫 소변은 산성이 강해서 원주나 기타 요 구성물이 잘 유지되므로 이상 결과를 발견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소변 검사에 있어 가장 좋은 검체로 여겨지고 있다. 소변 채취 시 처음 나오는 30mL 정도는 버린 후 중간뇨를 수집용기에 약 30~50mL 정도 받도록 한다.
    일반 소변 검사, 색, 혼탁도, 오렌지색(피리디움), 빨간색(적혈구, 철, 리팜핀), 녹색(녹농균), 갈색(마이오글로빈), 검정, 흑갈색(멜라닌, 레보도파)
    산도(pH)는 신장에서 수소이온 배설을 조정하여 산-염기 균형을 조정한다.
    요시험지봉 검사
    * 단백질
    -일과성 단백뇨(생리적 단백뇨)는
    1. 신질환이 없으면서 격렬한 운동 후, 탈수 시에 나타나는 단백뇨,
    2. 울혈성 심부전, 추위, 열로 인한 기능성 단백뇨,
    3. 정상인 중 소수에게 일어나며 일어선 자세에서 단백질이 배출되지만 누운 자세에서는 단백질이 배출되지 않는 직립성 단백뇨
    * 당
    혈당 상승을 동반하는 임신 중 합병증인 당뇨병과 구별해야 한다.
    실온에서 오래 두거나 약물에 의해서도 당뇨 검사에 위양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위양성 당뇨를 초래하는 약물: 아스코르빈산, 파라알데하이드, 세팔로스포린, 페니실린
    * 빌리루빈과 유로빌리노겐
    빌리루빈뇨는 간염이나 간경화증 등 간세포의 통합성이 파괴된 간질환이나 결합된 빌리루빈이 순환계로 들어가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소변 검사물을 빛이나 실온에 오래 방치했을 때 위음성 반응이 나타난다. 소변 중 과다한 아스코르빈산과 질산 또한 위음성 반응을 나타낸다.
    **빌리루빈은 알칼리 상태에서 배설이 증가된다. 알칼리 소변에서 유로빌리노겐의 신세뇨관 재흡수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산성 소변은 유로빌리노겐 수치를 저하시킨다. 유로빌리노겐은 장에서 박테리아 작용에 의해 형성되므로 광범위 항생제는 이 과정을 손상시켜서 유로빌리노겐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