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primary gonarthrosis

  • [성인간호 실습, 성인간호 임상실습] 양쪽성 원발성 무릎관절증(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급성 통증, 말초신경 혈관 기능 이상의 위험, 수면 박탈) 교수님 피드백 받음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Ⅳ.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Ⅴ.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 계획
    Ⅵ. 대상자의 간호문제
    Ⅶ.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Ⅷ. 간호과정
    Ⅷ-1.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 통증
    Ⅷ-2. 부동 및 석고붕대로 인한 기계적 압박과 관련된 말초신경 혈관 기능 이상의 위험
    Ⅷ-3. 신체적 불편감(만성통증 및 급성통증)과 관련된 수면 박탈

    참고 문헌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정의
    관절염(arthritis)은 관절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뼈관절염(osteoar­ thritis),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통풍성 관절염 (gouty arthritis) 등이다. 골관절염과 류마티스관절염은 남성보다 여성이 2배 이상 많이 발생한다. 류마티스관절염은 관절뿐 아니라 뼈와 근육에도 염증을 일으킨다.
    뼈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일명 퇴행성관절질환(degenerative joint disease, DJD),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이라고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 질환이다. 주로 체중부하관절에 발생하는데, 40세 이상 인구에서 70%, 65세 이상 인구에서 80% 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속발성 뼈관절염은 관절구조의 선천적 결함, 심한 외상이나 감염질환 및 대사 장애 등으로 발생한다. 뼈관절염은 임상적 소견, 나이, 병력, 신체검진과 방사선 소견으로 진단한다.

    <중 략>

    Ⅴ.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 계획

    ∎ 식이
    대상자의 History 상 DM 있어 DM 식이 권유하였으나 refuse하였다. 추후 DM 조절 안될 시 DM 식이를 먹을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2022/5/17 다음날 있을 op 준비 위해 NPO 유지 교육함. 2022/5/18, NPO 유지하며 씨제이플라스마솔루션에이주 1000ml 18G line IV start. op 후 6시간 NPO 유지 교육함.

    ∎ 운동
    2022년 5월 18일 both TLRA 후 foley, H-V 유지하며 침상안정 중이고 아직 op site pain 심해 DVT만 적용 중이다.

    ∎ 특수치료
    대상자의 diagnosis, S/P TKRA both로 cold pack, TENS/ICT, Pneumatic Compression, Complex Exercise(C.P.M) PT를 5/17부터 받고 있다. op 이후 TP hold.

    출처 : 해피캠퍼스

  • A+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케이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1) 무릎 관절증

    3. 간호과정
    1) 일반적 사항
    2) 입원 관련 정보
    3) 간호력(건강상태)
    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개인, 가족, 지역사회자원)
    5) 각 기관별 문진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순위

    5.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병동에서 실습을 하며 가장 많이 보았던 질환이 primary gonarthrosis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0년 222만 331명이던 무릎관절증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18년에는 295만 6740명을 기록했다. 특히 무릎관절증의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이 70.3%(207만 7327명), 남성이 약 29.7%(87만 9413명)를 차지해 여성 진료 인원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다. 여성은 폐경 이후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관절과 주변의 근육이 약화돼 무릎관절증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여성의 체계적인 무릎관절증 치료 및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무릎 관절을 비롯한 우리 몸의 100여 개 관절은 한번 손상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물건처럼 손상되기 전에 예방하고, 증상 초기부터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입원한 무릎관절증 환자에게 병원 실무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무릎관절증 환자의 신체적 건강유지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데 효과적인 중재전략 과정으로 여겨져 primary gonarthrosis 환자를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함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입원한 primary gonarthrosis에 대한 간호목표를 설정하고, 간호과정을 통해 우선순위의 간호진단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체계적인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및 평가를 적용하여 보다 전략적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에 목적을 둔다.

    Ⅱ. 문헌고찰
    1. 무릎 관절증
    1) 정의 및 원인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DA,Degenerative arthritis)등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외상, 질병, 기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관절증으로 구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