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진단적 검사
4. 치료
5. 간호중재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 진단
본문내용
1. 병태생리
– 골반장기탈출(POP, pelvic organ prolapse)은 골반 내 장기(자궁, 방광, 요도, 직장 등)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하강하거나 탈출하는 것을 말하며 골반저를 구성하고 있는 골반 뼈, 근막, 항문거근 및 회음부 근육들이 선천적 및 후천적으로 약해지거나 외적 및 내적 손상을 받은 경우 지탱하는 힘이 약화되어 골반 장기 탈출이 발생한다.
– 탈출이 어느 부위에서 일어났느냐에 따라 방광류(cystocele), 직장류(rectocele), 장류(enterocele), 자궁탈출(uterine prolapse)의 유형으로 나뉘고 임상적으로 한 가지만 나타나기보다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탈출 정도는 골반 장기 탈출 표준화 체계(Pelvic organ prolapse quanification system, POP-Q)* 에 따라 분류한다.
<중 략>
4. 치료
–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불편함이 없는 경우는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나 증상이 심각하거나 대상자가 원할 경우에는 건강 상태, 연령, 수술 시 적합성, 요실금 또는 변실금 등의 골반의 다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치료를 시행한다.
– 비수술적 방법
ü 골반저근 강화 운동(케겔운동) 같은 물리요법
– 자궁탈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에 시행한다.
ü 페서리(pessary)삽입
– 질 안으로 링 모양의 실리콘 기구를 넣어 자궁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막거나 질을 지지하 도록 한다.
– 페서리 삽입 후 매일 질 세척 해야 하며 6~8주 간격으로 페서리 빼서 세척 해야 한다.
ü 호르몬 대체요법
– 폐경전후기와 폐경 여성에서 지지조직의 강도, 두께, 혈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질벽의 탄력 성을 증가시킨다.
ü 식이와 일상생활양식 조절
– 고강도 운동 피하기, 체중감소, 금연, 식이 조절 등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