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PTSD

  • 정신간호학 PTSD 영화대본

    목차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 영화 줄거리 (폴 아웃(The fall out,2022))

    3.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대화 재구성
    1)#1. 총기 사건 이후, 방에서 처음 나와 가족들이랑 대화하는 장면
    2)#2. 친구랑 같이 총격 사건 이후, 밖에서 밥 먹으면서 얘기하는 장면
    3)#3. 베이다가 처음 심리상담을 받는 장면
    4)#4. 베이다가 처음 심리상담을 받는 장면
    5)#5 마트 주차장 차 안에서 엄마, 동생과 대화하는 장면
    6)#6. 베이다가 처음 학교 갔다가 집에서 저녁 먹으면서 가족들과 대화하는 장면
    7)#7. 베이다가 말도 없이 친구 집에서 외박하고 들어와서 아침에 가족들이랑 대화하는 장면
    8)#8. 미아네 집에서 놀다가 들어와서 부엌에서 엄마랑 얘기하는 장면
    9)#9. 친구 닉이랑 얘기하는 장면
    10)#10. 동생이랑 밤에 침대에 같이 누워서 얘기하는 장면
    11)#11. 아빠랑 드라이브하다가 들판에 앉아서 얘기하는 장면
    12)#12. 상담사랑 상담하는 장면

    본문내용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사람이 전쟁, 고문, 자연재해, 사고 등의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사건에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 후에도 계속된 재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며 거기서 벗어나 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질환으로,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 다.

    2. 영화 줄거리 (폴 아웃(The fall out,2022))
    베이다는 학교 화장실에서 미아와 대화하던 중 총격 소리를 듣고 숨어있는데, 퀸튼의 동생이 총에 맞으면서, 퀸튼의 옷에 피를 묻힌 채 화장실로 들어오고. 숨어있는 베이다와 미아와 맞 닥뜨린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베이다는 가족과 친구, 세상과의 관계를 새롭게 바라보게 되고 학교에 가지 못한 채 미아와 인스타를 한다.
    베이다는 미아의 집을 찾아가는데, 미아의 부탁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미아가 잠이 들 때까지 함께 있어 주고, 집으로 돌아온 베이다 역시 악몽에 시달리면서 잠에서 깬다.
    악몽에 시달리는 베이다는 심리상담도 받고 학교에 가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술 마시고, 마약을 하는 등 방황을 한다.
    베이다는 미아네 집에서 잠을 자고 외박하는데, 지금까지 와는 다른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바꿀 모험들을 한다.
    베이다는 퀸튼을 만나 조심스럽게 동생에 관해 묻는데, 퀸튼은 동생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한 다. 퀸튼은 동생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도 자신을 울까 봐 사람들이 묻지 않는다고 얘기를 하는데, 베이다는 퀸튼에게 언제든 나한테 이야기해도 된다고 말을 한다.
    베이다는 아빠와 산에 올라가 쌓인 감정을 소리 내면서 드러내고, 심리상담을 하면서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핸드폰의 뉴스 속보에서 총기 사건에 대한 뉴스를 접하고, 다시 트라우마를 경험하는 베이다를 보여주며 영화는 끝이 난다.

    3.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대화 재구성
    #1. 총기 사건 이후, 방에서 처음 나와 가족들이랑 대화하는 장면
    ∙탐지 → 관찰한 바를 말하기

    출처 : 해피캠퍼스

  • [의대A받은리포트]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조현병(Schizophrenia)의 연관성에 대하여

    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교과서의 관련 내용 (신경정신의학 3판)
    3. 관련 논문 분석
    4. PTSD를 갖고있는 Schizophrenia환자에게 접근 방법
    5. 결론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이유 : 제가 담당하였던 환자인 OOO환자는 32세 여성으로 Paranoid schizophrenia환자였습니다. 이 환자는 발달상 문제 없고, 학창시절 중위권의 성적이었고, NP family history가 없는 환자였습니다. 대학교 3학년 때, 사이비종교집단에서 성폭행을 당한 이후, 피해망상과 신체망상이 시작되어 Schizophrenia가 발병했습니다. 환자의 delusion이 심하여, 정확한 발병 시점, 성폭행의 진위 여부 등은 알기 어려웠으나,PTSD로 인해 유발된 Schizophrenia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PTSD를 일으킬 수 있는 trauma가 Schizophrenia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PTSD(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시오

    목차

    1. 서론
    2. PTSD의 증상과 진단 방법
    3. PTSD 극복을 위한 치료 방법 – 약물 치료, 인지행동치료, 뇌파생리학적 치료 등
    4. PTSD 극복을 위한 자기치료 방법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PTSD(외상 후 스트레스)는 정신 건강의 문제 중 하나로, 특정한 외상적인 사건에 대한 반복적인 기억과 회상, 불안, 공포, 분노, 우울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이러한 증상은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직장 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PTSD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대처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치료적 쓰기, 심리치료, 약물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 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며, 개인적인 자기치유 방법으로는 명상, 요가, 운동, 예술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치료와 자기치유 방법을 통해, PTSD를 극복할 수 있으며, 정신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