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영화 문헌고찰 : < 굿 윌 헌팅 >
2. 치료적 의사소통
3. 출처
본문내용
1. 영화 문헌고찰 : < 굿 윌 헌팅 >
주인공 ‘윌 헌팅’은 비상한 두뇌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 특히 수학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보이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재능을 살리지 않고 대학교에서 청소부 일을 하며 불량한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는 생활을 한다. 윌은 폭행, 차량 절도 등 범죄경력이 있었다. 그는 과거에 몇 번 입양됐다가 파양된 적이 있으며 그중 세 번은 학대로 인한 강제 파양이었다. 그는 과거의 상처로 인해 늘 시니컬하고 반항적이고 타인을 믿지 않는 행동을 보인다. 어느 날 대학교 복도 칠판에 있는 수학 난제를 푼 그는 수학 교수 ‘제럴드 램보’의 눈에 띄었고, 폭행 문제로 실형을 살뻔할 그는 교수가 내건 조건인 ‘수학을 배우고 정신과 치료를 받을 것’을 전제로 석방된다. 거칠고 지적 자만심에 넘치는 윌은 정신과 치료를 거부하고 좋은 조건의 일자리는 계속 거절한다. 그러다 램보 교수의 친구인 심리학 교수 ‘션 맥과이어’에게 치료를 받기 시작하는데, 윌은 비슷한 상처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을 보듬어주는 션에게 서서히 마음을 열게 된다.
한편 윌은 하버드대학 근처 술집에서 만난 ‘스카일라’와 조심스럽고 좋은 관계를 이어가지만, 깊은 관계가 될 것 같자 도망치려 한다. 그러나 결국 마지막에는 션 교수, 친구들, 스카일라 덕분에 상처를 치유하고 스카일라가 있는 캘리포니아로 출발하게 된다.
2. 치료적 의사소통
대화 내용
■ 헨리 : 자네의 고통을 함부로 분석하려는게 아니네. 다만 그것이 자네의 잠재력을 망치고 있네. (…) 쉽게 고통을 덜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조금만 더 노력해보게.
■ 윌 헌팅 : 사실 남몰래 그러기 힘들어요.
■ 헨리 : ①뭘 하는데? (윌을 쳐다보며 계속 얘기해보라는 손짓)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