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pva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2. PVA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 변화 관찰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1) PVA의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와 zeta-potential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 경향성을 밝히고 그 이유를 써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은 저번 실험과 같이 이미 존재하는 PLGA[lactic acid: glycolic acid(65:35)] 분말을 사용해, W/O/W double emulsion method를 통해 methylene blue가 봉입된 nano particle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PVA 농도가 PLGA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PLGA의 PVA 농도를 1%, 5%로 나누어 만들고 Dynamic Light Scattering(DLS)로 입자의 크기, PdI, Zeta-potential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PVA의 농도가 증가할 경우, 입자들 간의 반발력이 커져 응집현상을 막아 나노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나노 입자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우리 조의 결과는 PV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였다. 하지만 전체의 데이터를 분석했을 때는 PV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 W/O/W double emulsion 기법을 이용해서 methylene blue가 봉입된 PLGA 나노 입자를 만들고 PVA의 농도에 따른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한다.
    – 실험 원리
    1. W/O/W emulsion method
    오일이 물에 분산되거나 반대로 물에 오일이 분산된 것을 emulsion이라 한다. 물과 유기 용액을 매우 균일하게 섞어 o/w emulsion을 만든 후에 이를 다시 물에 넣어 균일하게 섞은 후에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 입자를 고체 상태로 얻는 방법이 w/o/w emulsion method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1. PLGA 나노 입자의 합성과 수용성 약물 봉입 방법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1) PLGA의 합성법
    2) W/O/W emulsion method
    3) PLGA 나노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6. References

    본문내용

    PLGA는 높은 생체 적합성과 생분해성, 가공성으로 Drug Delivery System(DDS) 등의 디바이스로 응용되고 있다. 이는 가장 효과적인 polymeric nano particle 중 하나로서, 미국 FDA에서는 몸속에서 오랜 시간 천천히 약물이 방출되는 controlled & sustained-release 특성과 낮은 독성, 조직과 세포에 대한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DDS로서 이를 사용할 수 있게 승인하였다. 하지만 낮은 세포 부착율과 큰 size가 DDS로 사용되는 데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 PLGA 분말을 Nano size화 시켜서 DDS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은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PLGA를 이용하여 nanoparticles를 합성하고, 이에 수용성 약물을 봉입하여 약물전달체로써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OLED 합성 및 제작 예비 보고서/OLED 발광 원리, 정공주입층, PVA, DI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주차
    3. 실험 목적
    4. 실험 이론
    5. 실험 기구 및 시약
    6. 실험 방법

    본문내용

    실험 목적
    화학적 반응을 통해 합성된 Ru[(bpy)3](BF4)2를 사용해 제작한 OLED 용액으로 기판을 제작해 관찰하여 보고,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원리와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전하들의 주입, 이동, 결합 및 발광의 과정을 화학적 관점으로 이해하여 본다.

    실험 이론
    *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빛을 내는 층이 전류에 반응하여 빛을 발산하는 유기 화합물의 두께가 μm 이하인 얇은 필름으로 이루어진 박막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기존 LED와 다르게 유기 물질(탄소)가 포함된 빛 발산 층의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반딧불이의 발광과 같은 원리로 빛을 내는 OLED 는 국제 표준 용어로 확정되기 전 일본식 표기인 ‘유기 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이라고도 불렸다.

    * OLED의 발광 원리
    유기 EL란 ‘유리나 플라스틱 등 위에 유기물을 도포하여 그것에 전기를 통하게 하면 유기물이 발광한다’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인 유기물은 절연체로 인식되지만, 특정한 종류의 유기물은 적절히 이용 시 전기가 흘렀을 때 빛을 내게 된다.
    OLED의 구조는 nm 단위 두께의, 굉장히 얇은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효율성을 위해 여러 다층(multi layer) 구조로 되어 있다.

    1) Cathode(-)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과 반사층 역할을 하며, 전자수송층으로 전자를 잘 주입하기 위해 Ca, Al:Li, Ma:Ag 등의 금속을 사용한다.
    2)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Cathode에서 생성된 전자를 주입해주는 층이다.
    3)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주입층에서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으로 전송하기 위한 층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