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Ⅱ. 간호사정
1. 대상자 자료 수집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신체사정
2. 진단검사
1) 진단검사
2) 특수검사
3. 약물치료
Ⅲ. 간호과정의적용
1) 사례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천식(asthma)은 기도의 만성 염증, 가역적인 기도 폐색 및 기도의 과민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폐쇄성
폐질환이다. 기도 내 염증으로 인해 쌕쌕거림(천명음), 숨참(호흡곤란), 흉통, 기침 특히 야간이나 이른 아침 에 심해지는 기침 증상을 보이고, 또한 다양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과민반응을 반복적으로 보인다. 그러 나 기도 폐색은 가역적 특성을 보인다.
2) 원인
(1) 알레르기 항원
먼지, 공해 물질, 진드기, 곰팡이 등 다양한 항원이 IgE를 매개로 하는 항체매개과민 반응을 유발한다. IgE 는 비만세포(mast cell)에 부착하여 IgE-비만세포 복합체를 형성하고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화를 촉진시켜 화학 매개체를 분비하며 혈관 이완, 모세혈관성 투과 증진, 부종 및 염증을 일으킨다.
(2) 운동
운동유발천식(exercise-induxed asthma)은 운동으로 기관지 경련, 숨참(호흡곤란), 기침, 쌕쌕거림 등의 증상 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운동유발천식의 예방을 위해서 환자는 운동하기 10~20분 전에 기관지 확장제를 흡입하고, 운동 직전 2~3분 동안 스트레칭으로 준비 운동을 실시하며 찬 공기나 건조한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한다.
(3) 호흡기 감염
급성 천식발작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의 하나로 기관-기관지 점막의 변화와 점액섬모 가전의 변화는 천식을 악화시키고 기관지의 과민성을 증가시킨다.
(4) 코와 코곁굴(부비동) 질환
천식환자는 알레르키코염(비염), 코곁굴염(부비동염), 또는 코 폴립(nasal polyps)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5) 약물 및 음식
코폴립이 있으면서 아스피린에 과민성이 있는 경우 천식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B-아드레날린 차단제를 투여하면 교감신경계가 억제되어 기도의 민무늬근육(평활근)이 수축된다. 음식 성분의 tartrazine과 비타민 그리고 맥주나 포도주의 방부제나 과일, 샐러드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sodium metabisulfite 등도 천식을 유발한다. 이런 약물과 음식이 prostaglandin 대사과정에 영향을 주어 강력한 기 관지 민무늬근육의 수축작용을 하는 leukotriene을 분비시키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