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residual model

  • 복지정책 ) 복지정책에서 residual model (잔여적 복지 모델)과 institutional model (제도적 복지 모델) 비교 정리 레포트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는 우리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이나, 사고, 장애 등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사회복지가 크게 두 가지의 제도로 구분되며 이런 복지정책 간 차이와 실제 사례를 통해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사회복지는 크게 두 가지 제도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잔여적 복지다. 잔여적의 개념을 살펴보면 개인의 욕구가 비정상적인것이라고 간주하며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이 긴급한 상황이거나 위기 상황이라고 본다. 더불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모두 소진한 이후에 사회복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며, 사회복지 수혜를 받을 때 낙인이 뒤따를 수 밖에 없으며, 사회복지가 문제에 대해 일시적인 완화책일 뿐 최후로 기댈 수 있는 본인이나 사회로 가능하다면 단기간에 종결해야한다고 본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