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Respiratory Distress

  • A+ 보장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간호과정 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진단: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Objective data
    1. 일반적 사항
    – 이름 : 김○○아기 / 성별 : F 출생일 : 2024년 1월 22일 (현재2024년 1월 25일 )

    2. 출생력
    – 재태기간 : 29+5, 분만형태 : C/S, 출생 시 체중 : 1,100g, Apgar scoring: 3/6 => 극소저체중 미숙아

    3. 건강력
    – 입원동기 : 분만 후에 호흡곤란과 청색증이 심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 늑간함몰과 검상돌기 함몰이 심하고 콧구멍이 커지는 호흡(nasal flaring), 그렁거리는 호흡이 관찰되었으며 X-RAY 상 RDS로 확인.

    – 현제병력
    ① 진단명 :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② 신체사정
    – 피부사정- 피부색 : 전반적으로 어두운 Pink색을 띈다.
    – 구강사정- 구강 : 균형적이었으며, 입술은 약간 파란 Pink색을 띄었다.
    – 호흡양상
    숨을 쉴 때 코를 벌렁거리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입에 침이 많이 고여있음
    호흡양상이 불규칙적이며 모니터 알람이 자주 울림
    – Reflex
    1) 흡철반사(Sucking Reflex) : 존재 (빈약)

    ③ 활력징후
    – 입원시 활력징후

    5. 치료
    – 신생아는 신생아중환자실 인큐베이터에서 치료 중
    – 신생아는 High flow nasal cannula 유지 하여 산소요법 중(5L/min
    inhalation)
    – 약물조사 기록지: 네오카프

    간호목표
    장기목표
    1. 환아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에 ABGA 수치가 정상치를 기록 할 것이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색이 정상색으로 관찰 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독자적 계획]
    <사정>
    1. 대상자 입원 기간동안 EKG 모니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활력징후 및 SPO2 수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Respiratory distress of newborn (일과성 빈호흡, 호흡곤란증후군)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례연구 조사 기간:

    Ⅰ. 아동대상자 소개

    아동 이름
    윤00 아기
    성별/ 나이(출생년월일)

    의학적 진단명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Respiratory distress of newborn, unspecified
    입원일/퇴원일

    질병과정
    상기 환아 출생 후 신생아실로 입실하였음. 출생 당시 이상소견 없었고 NR로 이동함. 이동 후 NR에서 환아 호흡 시 chest retraction 확인됨. desaturation은 관찰되지 않음. r/o TTN으로 호흡기 치료하기 위해 NICU로 전실됨.

    Ⅱ.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정의]
    태아는 폐속에 폐액으로 차 있는데, 출생 후 이 폐액이 자연히 흡수되고 호흡을 하게 된다. 그러나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물이 조금 남아 있는 경우에 호흡이 정상적이지 못하고 호흡곤란이 생겨 호흡이 빨라지는 경우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이라고 한다.

    [원인]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출생 시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발생한다. 이는 1000명 중 5.7명의 빈도로 발생하며 제왕절개로 출생한 아기, 경산부의 아기, 분만 시 마취로 인한 과다 진정, 둔위분만, 저출생 체중아, 주산기 가사, 당뇨병 산모의 아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호흡곤란 증후군보다 흔하며 주로 만삭이 가까운 신생아에게서 발병되나, 미숙아에게서도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