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항
2. 병력
3. 신체검진
II. 대상자의 질병 일반적 소개
1.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III. 간호과정
1. 감염으로 인한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 뇌동맥류 파열과 관련된 두개 내 적응 능력 감소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주막 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 뇌출혈은 두 개 내에 출혈이 있어 생기는 모든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크게 외상에 의한 출혈과 자발성 출혈로 나뉘며 자발성 뇌출혈은 뇌 내 출혈과 지주막 하 출혈로 나뉜다. 지주막 하 출혈이란 동맥류가 터지면서 뇌를 싸고 있는 지주막 밑에 피가 고이는 것이다.
Ⅰ. 병태생리 : 뇌세포는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이산화 탄소와 젖산 등의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그렇기에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 혈류가 감소하면 이러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뇌 조직이 손상되게 된다.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이 유지되는데 윌리스 환에 문제가 생겨 뇌 혈류가 원활하지 않게 되면 산소 공급이 저하되어 혐기성 호흡이 발생, ATP를 생성하지 못해서 다량의 젖산이 축적된다. 이는 신경학적 대사가 30초 이내에 변화하고 2분 이내에 중단, 세포는 5분 이내에 파괴되기 시작하는 결과를 불러일으킨다. 뇌출혈 시 출혈로 인한 혈액은 뇌와 두개골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고, 이는 뇌척수액과 혼합되어 뇌 주위의 압력이 증가하고 뇌의 기능을 방해하며 뇌 손상을 유발한다.
Ⅱ. 원인 : 외상, 뇌동정맥기형, 모야모야병 모야모야병: 양측 속목동맥의 끝부분과 앞대뇌동맥, 중대뇌동맥의 시작부분이 좁아지다가 막히는 소견과 이로인해 가느다란 비정상적인 혈관들이 자라나와 혈관망을 형성한 뇌혈관 질환이다.
, 고혈압성 뇌실질 내 출혈, 뇌혈관 염, 혈액 응고 이상, 그리고 뇌동맥류의 파열 등이 원인이 된다. 뇌동맥류란 뇌혈관 내 탄력층과 중막이 손상, 결손되어 혈관 벽이 부풀어 올라 새로운 혈관 내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뇌 바닥에 위치한 윌리스 환에서 주로 발생한다. 뇌동맥류의 파열은 흡연, 기침, 심한 운동, 코카인 복용 등의 혈압이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에도 발생하지만, 대부분은 보통 아무런 예고 없이 갑자기 터지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