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SDGs

  • 4학년 2학기 실습 대장암 인수인계 및 간호기록지, 실습일지, 성찰일지, 윤리보고서

    목차

    1. 인수인계 보고서
    2. 학생 임상실습일지

    본문내용

    1) 임상 현장에서 학생 간호사로서 혹은 간호사로서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갈등 및 문제 상황에 대한 구체적 기술

    외래로 내원하셨다가 당일 입원하게 된 환자분이 있었다. 그분은 보호자인 남편과 함께 계셨고 환자복을 입고 손목에는 라인을 잡혀 있는 것 같았다. 환자분과 보호자 분께서는 입원할 예정이 아니셨는지 병원에 대해 잘 모르시는 듯 했다. 간호사 선생님이 환자분과 보호자분을 병실에 안내해 주시고 기다리라고 설명했다. 환자분께서는 침대에 앉아있다가 침대 위치가 맘에 들지 않으신지 자꾸 나오시려고 했다. 환자분께서는 자기 병실 앞에서 자꾸 엿보듯이 밖에 간호사 선생님이 지나다니나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보호자인 남편분에게 빨리 간호사 불러오라고 작게 소리치셨다. 실습생들을 보고 간호사 언제오냐고 퉁명스럽게 물어보기도 했다. 오늘은 오후에 입원 환자가 15명 가까이 되는 날이라 매우 바쁜 날이었고 간호사 선생님들도 정신없이 다니고 다른 환자분께도 양해를 구하며 일이 밀려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환자분은 자신이 먼저 왔고 오래 자신을 그대로 방치해 둔 게 분했는지 옆 침대에서 설명하고 병실을 떠나려고 하는 간호사에게 따졌다. 하지만 어떤 일이 있었는지 몰랐던 선생님은 죄송하다고 좀만 기다리라고 하고 떠났다. 그리곤 실습생인 우리에게 화가 전가되었고 우리에게 옷 바꿔와라, 담당 선생님 불러와라, 이거 버려라 등 이상한 지시를 하기 시작했다. 간호사가 병동에 가장 많고 아랫사람처럼 보이니 시중을 들라고 하는 언행이 매우 불편했다.
    간호사가 환자에게 간호행위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환자의 시중을 드는 행위도 간호사로써 환자에게 해야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것이 당연한 행위처럼 행해진다면, 간호사가 해야할 일이 너무 많아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불편한 분을 도와드리는 것은 맞지만, 간호사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범위가 어디까지 일지 기준이 명확하지는 않은 것 같아 윤리적 갈등 상황이라 생각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베트남 건강의 사회적 결정인자 조사, 각국의 보건의료 in SDGs 분석

    목차

    1.기대수명, 영아/아동 사망률
    2. 영양과 비만
    3. 주요 질환 이환율 및 사망률
    4. 환경 요인
    5. 보건의료 in SDGs

    본문내용

    1) 기대수명, 영아/아동 사망률
    WHO 데이터 – 기대수명: https://data.who.int/countries/704
    https://www.who.int/data/gho/data/indicators/indicator-details/GHO/neonatal-mortality-rate-(per-1000-live-births)
    https://www.who.int/data/gho/data/indicators/indicator-details/GHO/under-five-mortality-rate-(probability-of-dying-by-age-5-per-1000-live-births)
    “출생 시 기대수명”은 신생아가 살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평균 년수인 반면, “태어날 때의 건강수명”은 출생부터 “완전한 건강” 상태로 살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평균 년수다. 질병 및/또는 부상으로 인해 완전하지 못한 상태인 세월을 고려한 것이다. 영아 사망률은 생아 1000명당 0~27일된 아이를 기준으로, 아동 사망률은 5세 이하를 기준으로 한다.

    <중 략>

    *베트남의 영양 관련 정책
    – 음식 섭취 기반의 식이 가이드라인: 있음
    – 정제 소금 정책: 있음
    – 가당 음료세: 없음
    – 염분 섭취 저하 정책: 있음
    – 포화지방산 섭취 저하 정책: 없음
    – 산업적으로 생산된 트랜스지방산 저하 정책: 없음
    – 염분, 트랜스지방, 포화지방 또는 과도한 설탕이 함유된 식품 및 음료의 마케팅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정책: 없음
    – 비전염성 질환과 관련된 부적절한 식이를 줄이기 위한 정책: 있음

    3) 주요 질환 이환율 및 사망률 (감염성 및 비감염성 질환)

    1) 심혈관질환
    –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20년 전에 비해 20% 증가하여 전체 사망자의 33%를 차지 (2023년)
    – 매년 20만명이 넘는 베트남인들이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는데(주요사망원인 – 1위 뇌졸중 및 혈관계질환, 2위 심혈관계

    출처 : 해피캠퍼스

  • 고등 탐구활동_지속가능발전목표 탐구하기 (적정가격의 깨끗한 에너지, 기후변화 대응)

    목차

    1. 선택한 목표 두 가지는 각각 무엇인가요?
    2. 각각의 목표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3. 선택한 목표의 여러 실천사례를 각각 2가지 이상 찾아서 적어보세요.
    4. 선택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개인적 차원의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신의 생각을 각각 2가지 정도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본인이 실천한 것이 있다면 포함할 것.)
    5. 그 밖에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본문내용

    2015년 9월 25일 유엔 총회는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를 채택했다(UN, 2015). 인류를 지속가능한 길로 향하게 하는 이 새로운 글로벌 프레임워크는 201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리우+20)’ 이후 유엔 회원국을 포함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과 수천 명의 활동가들이 참여한 국가별 조사로 3년에 걸친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다.

    2030 의제의 중심에는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가 있다. 보편적이고 변혁적이며 포용적인 SDGs는 인류를 위한 주요 개발 과제들을 설명하고 있다. 17개의 SDGs의 지향점은 현재와 미래의 모든 사람들을 위해 지구상에 지속가능하며 평화롭고 번영하며 평등한 삶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 목표들은 인류의 생존에 중요한 전 지구적 과제를 포함한다. 이것들은 환경을 고려한 한계를 설정하고, 천연자원의 이용에 대해서는 중요한 임계치를 정한다. 이 목표들은 빈곤 퇴치와 경제 발전 전략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