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SICU

  • ICU 중환자실 ECMO, Vent, 간호과정 2개 – 심박출량 감소,자발적 환기장애

    목차

    –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 현재 질환과 관련된 입원 전/후 치료과정
    – 신체검진 및 간호사정
    – 간호과정 2가지
    1) 심박출량 감소 r/t 심근의 산소 공급 저하
    2) 자발적 환기장애 r/t 심기능 저하

    본문내용

    1. 일반적 정보
    환자 이름: XX 병실: 00 나이: 00세 성별: M
    진단명: 1) Cardiac arrest with successful resuscitation
    2) Pulmonary edema with mention of heart disease NOS or heart failure
    3) Acute respiratory failure, type unspecified
    4) 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3-vessel
    5) Acute renal failure
    6) Heart failure
    입원 날짜: 0월 0일 입원 기간: 0월 0일 ~ 자료수집기간: 0월 0 ~ 00일
    수술/시술명: 1) Coronary Angiography, CAG Both (2회 → 0월 0일, 00일)
    2) PTCA,단일혈관 (fail)
    3) ECMO insertion, 부분체외순환
    수술/시술날짜: 0월 0일 (CAG, ECMO 시행. PTCA 시도), 00일 (CAG 2차)
    결혼상태: 기혼 교육수준: 모름 직업: 무직 종교: 무교

    2. 병력, 과거력 (과거 병력, 입원 경험, 수술 경험 등)
    주증상: Dyspnea. 202-.0.0부터 POI (Poor Oral intake, 경구 섭취 불량), general weakness 있고 당일 3AM 자던 중 발생한 dyspnea로 내원함.
    발병일시: 202-.0.0 3AM
    현병력: 호흡곤란 증세로 202-.0.0 응급실 찾음. “고지혈증, CKD(투석x), cerebral infarction, 당뇨병성 망막병증 등” 있어서 “신경과약, 신장내과약, 고지혈증약, 혈압약, 당뇨약 및 타병원약(소화제)” 내원전일 저녁까지 복용했다고 함. 대상자 EMC에 있던 중 의식상태 ‘혼미’ 및 V/S 158/42 – 132 – 18 – 36.9. 응급상황이라 우선 SICU로 전실하고 지켜보기로 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중환자실 SICU 외상성 경막하 출혈(T-SDH) CASE STUDY (비효과적 호흡양상, 낙상위험성, 감염위험성) 입실후경과,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력
    1) 간호력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혈액 및 소변, 심전도 등)

    3. 입실후경과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3) 간호과정적용

    본문내용

    ⒊낙상 위험 평가도구로 낙상위험성을 평가하였다.
    – 대상자의 상태가 급성기이므로 24시간마다(매일) ‘Morse의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사용하여 낙상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낙상유발 가능 약품 복용환자, 이차적 진단 있음, 3개월간 낙상 경험 있음, IV 있음, 자신의 기능수준은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에 해당.
    총 75점으로 낙상고위험군에 해당됨.

    ⒋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모든 요인을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의식 수준 저하, 혼돈 증상으로 낙상 위험이 증가된 상태였다.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에필라탐) 투약 후 더욱 주의깊게 관찰했다.

    5. 자주 순회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주변 환경을 확인하였다.

    ⒍ 대상자에게 낙상 고위험군 팔찌를 착용시키고 낙상 고위험군 팻말을 침상 등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하였다.

    7. 대상자의 뇌압(ICP)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중재를 시행하였다.
    – 침상 머리를 30~45° 정도로 올린 자세를 취해주었다.

    8. 대상자에게 적절한 지남력을 제공한다.
    – 대상자가 시간,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없고 혼돈 증상이 있을 때 일관적으로 지남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 “여기 지금 병원이에요”라고 정보를 제공한 뒤에 다음 자리보기 시간에 “지금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어요? 병원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 집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라고 질문하였다.
    -“지금 밤이라서, 주무실 시간이에요”

    장기 목표
    1. 입원기간동안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11/16일까지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 부분달성

    단기 목표
    1. 3일 안에 대상자는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지금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어요? 병원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 집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라고 질문하였을 때 병원에서만 고개를 끄덕여서 장소에 대한 지남력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 부분달성

    출처 : 해피캠퍼스

  • 개방성상처SICU 케이스_케이스스터디_간호과정AA++

    목차

    1.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개방성 상처"
    2) “복부손상”
    3) “중환자실 증후군(중환자실 섬망)”

    2. 간호력 (Nursing History)
    1) 일반 공통
    2) 신체 사정
    3) Total I/O
    4) 활력징후
    5) 신경계검사

    3. 진단적 검사 (Lab data)

    4. 투약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간호과정(Nursing Process)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개방성 상처”
    개방성 상처는 표피나 신체의 주요 부분을 덮고 있는 피부나 점막의 손상과 함께 내부 조직까지 손상된 경우이다.

    (1) 개방성 상처의 종류
    ① 찰과상
    거칠거나 딱딱한 면에 피부가 문질러지거나 긁혀서 표피와 진피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 것이다. 진피의 손상된 모세혈관에서 혈액이 스며 나올 수 있지만, 출혈은 심하지 않으며, 감염되기 쉽다. 상처가 경미할지라도 환자는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신경의 말단이 피부와 함께 벗겨졌기 때문이다.
    ② 열상
    날카로운 물체에 의하여 피부가 잘린 것이다. 자르는 물체는 피부에 예리하거나 불규칙한 상처를 남기고, 피하조직이나 심부의 근육, 그리고 연관된 신경과 혈관까지도 손상을 줄 수 있다.
    ③ 절상
    종이에 베었거나, 수술 시 절개 부위와 비슷한 상처를 말하며, 보통 가장자리가 매끄럽다. 상처의 깊이, 위치, 그리고 크기에 따라 출혈량이 달라진다.
    ④ 자상
    손톱이나 칼에 찔린 상처를 말하며, 주로 상처가 깊고 좁기 때문에 피부의 내부조직에까지 상처가 생긴다. 자창은 상처는 작게 보여도 창동은 깊게 내부에 달하므로 감염하기 쉽고 또 내부의 중요장기에 상처를 입히기 쉬우므로 위험한 창상이다. 사인으로서는 실혈이 가장 많고 심낭혈종, 창상감염, 공기전색(空氣检塞) 등을 들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