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SPINAL STENOSIS

  • 성인간호학실습 척추협착증 spinal stenosis 케이스 스터디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1) 척추관 협착증
    2) 척추유합술

    3. 진단검사
    1) 혈액 및 소변검사
    2) MRI lumbar

    4. 약물

    5.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간호과정 #2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6. Reference

    본문내용

    김**환자는 74세 남자환자로 퇴행성 척추 협착증으로 타병원에서 L4/L5 시술 후에도 지속되는 NRS 8점 정도의 허리통증으로 5/30 외래 통해 5/31 입원하였습니다. 대상자의 신장은 165cm에 체중 59kg으로 고혈압과 당뇨의 과거력은 없었습니다. 간호평가 욕창점수 23점, 낙상점수 15점으로 저위험군이었으며, 피부 상태 좋고 소변과 대변보는데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보호자는 따로 상주하지 않았으며, 본원에서 시행한 MRI lumber 촬영 결과 L3/4/5 stenosis 진단되었으며 입원 당일 OP 결정되었습니다.

    사정1일째인 5월 31일 입원 1일째로 금일 전신마취로 Both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양측측방요추체간유합술) L4/L5 수술 후 ClinVAC과 foley catheter insertion(12Fr), PCA IV로 가지고 병실로 돌아왔습니다. 수술 전/후 진단명은 L4/5 stenosis이었으며, 수술 직후 V/S은 T/P/R 37.1°C-80회/분-18회/분, BP 130/80mmHg, Spo2 95% 의식상태 alert하였습니다. 대상자는 허리보조기를 착용하였으며 수술 후 NRS 통증점수 8점을 호소하여 Denogan을 투여하였고 간호사로부터 통증 조절을 위해 2시간마다 PCA 버튼을 누르기를 권고하는 교육을 받았습니다.

    사정2일째인 6월 01일 입원 2일째로 V/S은 변함없으며, gas out(+)확인 되어 수술로 인한 NPO를 해제하였으며 식이 죽(연식)을 제공하였습니다. 수술 부위 oozing이나 bleeding없이 양호하였고, moter power intact로 확인하였습니다. 수술한 부위의 허리통증은 전날과 비슷한 양상인 NRS 7점으로 “수술 부위 아파 죽겠지만 이 정도 통증은 참아 볼래요. 평소에도 통증은 잘 참았었거든요.”라고 호소하였고 마약성 진통제는 따로 처방된 건 없이 PCA로만 통증 조절하고 있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받은자료) Spinal stenosis, lumbar region,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진단3개, 우선순위)

    목차

    1. 질병연구 (진단명, 정의,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검사, 약물, 처치, 간호)

    2. 간호사정
    1) 간호력
    2) 신체검진 기록지
    3) 진단검사
    4) 약물
    5) 총괄적 소견
    6) 간호진단 (3개- 우선순위와 근거 작성)

    본문내용

    대상자의 진단명
    Spinal stenosis, lumbar region
    정의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은 척추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요추 협착증은 만성 요통의 흔한 원인이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뼈돌출, 척추인대 칼슘침착, 디스크 퇴행같은 관절 변화는 척추관을 좁게 만들어 신경을 누르게 된다. 압박으로 인한 염증은 통증, 약화, 무감각을 초래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종양, 파제트병, 척추강 손상과 같은 후천적 상태와 선천적 척추관 협착과 척추측만 같은 선천적 문제도 척추관 협착증을 일으킬 수 있다.
    요추의 척추관이 협착되면 요통을 유발하며, 통증은 주로 허리에서 시작하여 엉덩이와 다리로 방사된다. 통증은 특히 가만히 서 있거나 걸을 때 심해진다. 앉거나 앞으로 구부릴 때 통증이 감소되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다. 무감각, 저림, 약화, 다리와 둔부가 무거워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된다.

    <중 략>

    5) 총괄적 소견

    대상자는 이OO, 74세 여성으로 Spinal stenosis가 있어서 본원에서 f/u 중이었음. 입원 당시 한달 전부터 NRS 4점의 Low back pain과 Lt. leg의 저린감과 통증이 악화되어 수술적 치료를 위해서 외래를 통해 입원함. 과거력으로는 spinal stenosis, Hypertension이 있음. 청력장애가 있어 우측이 들리지 않고 좌측에는 보청기 착용 중임. 하지직거상 검사 결과 우측 free, 좌측 60도의 통증으로 신경근의 긴장을 보여 Spinal stenosis, lumbar region을 진단받고 9/4 외래를 통해 입원함.
    대상자는 9/5 Lt. L4-5 부위에 Local Anesthesia하에 SNRB(Selective nerve root block: 선택적 신경 차단술)을 시행함.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