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stability constant

  • 혈관도플러(ABI, Ankle Brachial Index) 실험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재료 및 방법
    1) 장비
    2) 검사 방법

    5. 결과
    1) 오른팔과 오른손 측정
    2) 왼팔과 왼손 측정
    3) 교차 측정 오른팔과 왼발 측정
    4) 교차 측정 왼팔과 오른발 측정

    6. 고찰

    본문내용

    3. 실험 목적: ABI의 측정은 하지동맥 동맥경화증의 선별에 이용되는 비침습적인 검사법으로 뇌경색 및 말초동맥질환 간의 상호 높은 연관성을 고려할 떄 ABI검사는 뇌경색 환자에서의 말초동맥질환 병발 가능성을 알아보는 유용한 방법으로 상지와 하지의 혈압 차이를 이용하여 동맥 경화증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위험을 간단하게 실험하기 위험이다.

    4. 실험 이론:
    *ABI: 발목 수축기 혈압을 팔 수축기 혈압으로 단순히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오른쪽과 왼 쪽을 따로 계산하기도 하며, 발동맥 혈압은 낮은쪽을 팔동맥의 혈압은 높은쪽을 선택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발목 동맥중에서 발등동맥(anterior dorsalis artery)이나 뒤정강동맥 (posterior tibial artery)의 혈압을 따로 측정하여 평균을 낸 값을 발동맥 혈압으로 이용하거 나 낮은 쪽을 더 의미를 두어 발등동맥혈압으로 계산하기도 한다.

    *하지동맥경화증: 다리 혈관 중 동맥이 딱딱해지는 질병으로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비만 등의 원인으로 발병한다.

    *동맥: 일생동안 심장으로부터 발생한 압력을 받으면서 일생동안 일을 하게 됨으로 압력 자체가 혈관내벽에 손상을 주기도 하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혈관내벽이 손 상되게 되면 일종의 염증반응이 생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드럽고 탄력적인 원래의 혈 관의 성질로 치유되는 것이 아니라 탄력층 (elastic layer)이 소실되고 섬유화 (fibrosis)를 초래하여 딱딱한 변성이 유발되는 것이다. 동맥경화증은 콜레스테롤이 많은 동맥경화반 (atheroma)의 유무에 따라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과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으로 나누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강대 기기분석실험 < UV-VIS Spectroscopy > 레포트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1) 실험목적
    2) Theories

    3. EXPERIMENTAL
    1) 사용한 시약 및 기구
    2) 실험 방법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6. REFERENCES

    본문내용

    ABSTRACT.
    Cu-IDA 착물을 제조한 뒤 산과 염기로 Calibration 하여 수소의 농도를 모두 일정하게 맞추었다. 이는 수소가 IDA와 경쟁하여 구리 이온에 Binding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떄, 이로부터 흡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모두 동일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UV-Vis 기기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몰분율에 따른 흡광도의 경향성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는 금속과 리간드가 1:1의 비율로 혼합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제로, 용액의 색이 이 경우 가장 진해졌다. 흡광도를 이용하여 Cu-IDA 착물의 formula와 안정호 상수를 계산했다. Cu-IDA는 금속과 착물이 1:1로 결합하는 착물임을 밝혀냈다. 또, 잡스 method로 외삽하여 얻은 흡광도와 실험에서 얻은 흡광도를 비교하여 안정화 상수를 계산했다. 그 결과, 650nm에서 logK 값이 11.081이었으며, 참고문헌의 값과 비교하였을 때 약 7.58%의 오차율을 보였다.

    Key words: Job’s method, Complex, UV-Vis Spectroscopy, stability constant, ligand

    INTRODUCTION
    1. 실험 목적
    Spectrophotometry 와 Method of continuous variation 를 이용하여 Copper(Ⅱ)와 리간드인 iminodiacetic acid 간에 형성되는 착물의 화학식 및 안정화 상수를 결정한다.

    2. Theories
    2.1 Method of Continuous variation (Job’s method)
    연속 변화법(Job’s method)는 분광학적으로 착물의 formula 를 결정할 때 쓰이는 방법이다. 단일 착물 화학종이 형성되는 용액에서 M(metal)과 X(ligand)는 흡수하지 않으나, MXn 은 강하게 흡수하는 빛의 파장대를 알고 있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