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streaking

  • 성인간호실습 중환자실(ICU) 급성신부전 AKI (acute kidney injury) 임상개념도

    목차

    없음

    본문내용

    <환자 정보>
    – 성별/나이 – 진단명: AKI(acute kidney injury) – 과거력: HTN, NIDDM
    – 입원동기: 내원 2일 전부터 하루에 1시간씩 계속 vomiting 있었다고 하며 watery diarrhea 보였다고 함.
    – 적용기구: V/S monitor, HD, CRRT, Foley catheter, HD catheter, A-line catheter, nasal cannula
    – V/S: 205/127-111-24-36.0-99% – 의식상태: alert

    <주요 검사 결과>
    – ABGA: 6.90-17-69.0-3.3(74.9) – chest AP: biluteral pleural effusion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2. Gram staining, Streaking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일시 및 장소 : 2023년 00월 00일, 29호관 618호

    2. 실험 도구
    – Sample : 흙을 재료로 sampling, spreading 과정을 거쳐 배양한 colony 중 뚜렷한 것을 채취하여 사용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1000 μL, 200 μL), tube (10 mL, 50 mL), tube rack, 슬라이드, clean bench, plate, 알코올램프, 라텍스 장갑, 광학현미경, 백금이
    – 시약 : LB 배지, crystal violet, Gram lugol, alcohol, safranin

    3. 이론
    ① Gram staining(그람염색법)
    세균을 염색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열염색법 중 한 종류이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은 세포벽 구조에 따라 구분된다. 세균을 슬라이드글라스에 고정시킨 후 1차 염색약인 cristal violet으로 1∼2분 동안 염색한다. 이후 cristal violet을 세포에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매염제인 Gram lugol을 사용한다. 이는 1차 염색약과 결합하면서 불용성 화합물인 Cristal violet-iodine complex를 형성하며 짙은 보라색을 띤다. 이후 대비 염색제로 safranin 등의 붉은색 계통 색소를 1∼3분 동안 염색을 하고 물로 씻어 말린 후에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② Gram-positive bacteria(그람양성균), Gram-negative bacteria(그람음성균)
    Gram staining 시 탈색 과정에서 탈색되는 세균을 Gram-positive bacteria, 탈색되지 않는 세균을 Gram-negaitive bacteria로 분류한다. Gram-positive bacteria는 여러 겹의 펩티도글리칸이 중첩되어 형성된 두껍고 단단한 세포벽을 가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