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TKRA

  • OA, TKR 문헌고찰, 골관절염 문헌고찰

    목차

    1. 골관절염
    1) 정의
    2) 골관절염의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2. Total Knee Replacement (TKR)
    1) 정의
    2) 목적
    3) 적응증
    4) 금기증
    5) 수술과정 및 방법
    6) 장점
    7) 수술 전 환자 관리
    8) 수술 후 환자 간호 및 관리
    9) 합병증
    10) 환자 교육/건강유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 골관절염 Osteoarthritis >

    1. 정의
    – 관절염 가운데 가장 흔한 유형
    – 연골의 연화와 관절의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새로운 조직이 생성되는 만성적·진행적 과정으로 알려져 있음.
    – 관절 내에서의 변화가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일시적인 관절의 삼출 발생

    2. 골관절염의 원인
    – 원인불명(1차성)과 2차성으로 구분됨

    ① 원인불명(1차성)
    – 관절의 손상, 관절질환 또는 관절염 발생과 연관될 만한 질환의 과거력 없이 발생
    – 6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발생빈도가 높음
    – 남성 < 여성에서 흔히 발생 - 주로 척추나 체중이 부하되는 큰 관절에 영향을 미쳐서 부가적인 장애를 초래 - 유전적 질환은 아니나 가족력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성호르몬, 다른 호르몬 인자들이 OA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함 ② 2차성 - 여성 < 남성에 더 자주 발생 - 외상이나 다른 염증성 관절질환, 무혈관성 괴사, 또는 Legg-Clave-Perthes 질환과 같은 신경병증적 장애의 결과로 초래됨 - 골절이나 관절에 개방성 손상을 입은 후 발생하는 관절염 - 대상자의 직업이나 스포츠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손상을 당하여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 A+/무릎인공관절수술/TKRA/간호진단 통증/간호진단 신체기동성 장애/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이론적근거/케이스스터디/간호학과

    목차

    1. 진단명
    2. 문헌고찰
    3. 대상자 관련 자료
    4. 식이, 운동, 특수치료, 재활
    5. 진단적 검사
    6. 약물치료 현황
    7. 간호진단 2개 및 이론적 근거
    8. 간호과정 2개 및 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 진단명
    : 양측 원발성 무릎관절증 (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 문헌고찰
    1. 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양측 원발성 무릎관절증)
    ● 정의
    무릎에 염증이 생기는 모든 질환으로 무릎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국소적인 퇴행성변화가 나타나는 질환 또는 슬관절의 관절연골 마멸과 관절면의 신생골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뜻한다. 종류로는 노화로 인해 생기는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외상, 세균감염 등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관절증이 있다.

    ● 원인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원인은 무릎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연골, 뼈,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통증, 기능 장애, 변형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차성 무릎관절증의 원인은 세균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으로 인한 관절 연골의 파괴, 심한 충격, 반복적인 외상 등이다.

    ● 증상
    무릎관절증의 대표적 증상은 무릎이 아프고 붓거나 운동 범위가 줄어드는 것이고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무릎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해 병이 진행되면, 연골 조직이 많이 닳으면서 무릎 통증이 악화되고 다리가 휘거나 절룩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병태생리
    고관절과 무릎관절처럼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연결부와 척추에 잘 발생하며,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 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점점 늘리는 양상을 보인다. 관절이 침범되면 밝고 투명한 정상 연골이 불투명해지면서 노랗게 되고, 갈라지고 궤양이 생기면서 엷은 조각으로 벗겨지거나 움푹 들어간 자국이 생기며 시간이 경관하면서 연골이 갈라지고 깊은 골이 침식되어 완전히 벗겨지면 연골 밑의 뼈가 관절로 완전히 노출된다. 그 이후 이곳에 신생골이 형성되면서 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나 결국, 관절기형이나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실습 TKRA 간호 대상자사례 case study 간호과정

    목차

    I. 간호력
    II. Conceptual Mapping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황

    손OO씨는 64세 기혼 여성으로 직계 가족과는 절연하여 현재 혼자 살고 있다. 내원 1달 전부터 양쪽 knee discomfort가 느껴져 5/9 휠체어를 타고 외래를 통해 입원했다.
    신체사정 및 입원 시 V/S 모두 stable 했다. 기저질환으로는 HTN, DM이 있으며, DM 조절이 어려워 당뇨식이 및 q6h BST를 진행했고, 개인 지참약(Tuojeo)이 있어 self Inj. 하기로 했다.
    DJD(degenerative arthritis) 진단받아, 통증이 심한 오른쪽 다리에 TKRA(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수술을 5/11에 진행했다.
    수술 후 pain 심하다고 하고 NRS 6점 사정돼서 medication 하고 있다.

    * 대상자는 5/18일 퇴원했으나, 자료의 양이 너무 많기에 5/13까지 조사하였다.

    <중 략>

    주요 문제 / 간호 진단
    CC: Rt. Knee Pain
    Dx: 수술 창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Subjective Data
    – “지금 통증이 심한데 이 꽉 깨물고 참고 있어요.”
    –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요.”

    Objective Data
    – 5/11 OP V/S BP 160-180대 측정됨. (고혈압)
    – 5/11 AM11 TKRA 실시함.

    출처 : 해피캠퍼스

  • TKRA 적응증, 수술 전.중.후 간호

    목차

    없음

    본문내용

    THRA
    목적: 관절의 통증을 없애고 관절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

    적응증
    고관절염, 고관절의 이형성증, 선천성 고관절 탈구, 외상, 감염, 특발적인 원인에 의해 고관절에 통증이 발생하고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즉, 관절염 대상자에게 보존적 치료의 실패, 심한 활동장애, 통증 등이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방사선 촬영을 통해 확인되는 관절의 변형보다는 대상자의 주관적 호소가 수술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관절전치환술은 대퇴경부골절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선천성 질환이나 기형 또는 이전에 실시한 고정술이 실패한 경우에도 시행한다.

    – 보존적 치료나 목발, 지팡이를 사용해도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
    – 일상생활이 불가능 할 정도로 통증을 느끼시는 분
    – 관절에 통증이 수시로 껴지고 가만히 있을 때도 통증이 있는 분
    – 약물, 물리치료, 주사 등 치료로도 호전되지 않고 통증이 지속되는 분

    수술방법
    시멘트 방식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인공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수술과정 중에 대퇴와 관절구를 즉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
    – 노인층 또는 골다공증으로 뼈의 강도가 저하된 대상자에게 적용

    비시멘트 방식
    – 관절구 표면에 구멍이 있는 보철을 사용
    – 보철은 구멍이 있는 표면 위로 골세포가 성장하여 서로 얽힘으로써 자연적인 접착이 이루어짐
    – 수술 후 수 주 동안 체중부하를 제한해야함
    – 활동적인 젊은 층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대상자에게 적용

    수술 중의 노출방식
    수술적 접근은 (1)전측면, (2)측면, (3)횡전자, (4)후측면 으로 분류
    (1) 전측면
    1. 대상자를 수술대 위에 앙와위로 눕게 한다.
    2. 수술받을 고관절을 외회전과 동시에 신전시키고 무릎은 굴곡시킨다.

    (2) 후측면
    1. 대상자를 옆으로 눕게 한다.
    2. 수술받을 고관절을 내회전과 동시에 굴곡시키고 내전되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무릎관절증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TKR환자) 간호과정 3개 포함/ A+인증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무릎관절증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말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0년 222만 331명이던 무릎관절증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18년에는 295만 6740명을 기록했다. 2018년을 기준으로 환자의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이 약 70.3%(207만 7327명), 남성이 약 29.7%(87만 9413명)를 차지해 여성 진료 인원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여성에게 호발하는 이유는 폐경 이후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관절과 주변의 근육이 약화돼 무릎관절증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아진다. 하이힐과 같이 굽이 높은 구두를 신거나 집안일을 하며 쪼그려 앉는 등 생활습관도 무릎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다.
    또한 무릎관절증은 50대 이상의 연령의 환자가 전체의 약 91.3%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화 사회로 아래 그래프를 보면 중위연령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무릎관절증을 겪게 되는 인구가 늘어날 것이다. 무릎관절증은 우리나라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무릎관절증이 어떤 질환인지 잘 알아야 하며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론
    1. 문헌고찰
    1) 무릎관절증
    (1) 정의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이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괄하는 말로 슬관절의 통증과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쉽게 말해 우리가 흔히 아는 퇴행성 관절염도 여기 포함된다. 무릎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나고 X-ray 상으로 관절염의 징후가 나타난다면 이는 무릎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무릎관절염의 증상만 나타나고 검사상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무릎관절증이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이때 X-ray에서 볼 수 있는 무릎관절염의 징후는 보통 무릎 사이의 간격과 골학적 변화이다.
    무릎관절증은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이차성 무릎 관절증으로 나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TKR 슬관절전치환술 CASE STUDY 과정3개

    목차

    I. 문헌고찰
    1. 슬관절의 이해
    2. 슬관절 전치환술 (TKR: Total Knee Replacement)
    (1) 정의
    (2) 효과
    (3) 적응증
    (4) 수술 시기
    (5) 수술 및 외과적 처치 과정
    (6) 합병증
    3. 슬관절 전치환술의 처치 및 간호

    II.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슬관절의 이해

    무릎은 위쪽 뼈(대퇴골)와 아래쪽 뼈(경골)가 만나는 부분으 로 걷거나 계단 오르기 등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관절 중의 하나이다. 각각의 뼈는 표면이 연골로 둘러싸여 있 어 관절을 보호되지만 무릎관절은 많은 하중을 받으며 움직 이는 곳으로 엉덩이 관절에 비해 불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손 상 받을 수 있는 관절이다.

    2. 슬관절 전치환술 (TKR: Total Knee Replacement)

    (1) 정의
    심한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심하게 닳고 망가진 낡은 관절의 관절면을 깎아내고 그 자리를 금속 합금으로 바꾸어 준 후 대퇴골과 경골로 이루어진 슬관절의 양쪽 관절 사이에 폴리에틸렌 삽입물을 끼워 넣어 그 관절면이 부드럽게 잘 움직이도록 한다. 즉, 수술을 통해 통증을 없애주는 무릎에서 하는 최종단계의 수술을 슬관절 전치환술이라고 할 수 있다.

    (2) 효과
    ① 통증감소
    가장 큰 이유인 통증으로 인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게 된다. 퇴행성 관절염 등의 원인으로 관절면의 연골이 손상을 받으면 일어날 때, 걸을 때, 계단 오를 때 등 무릎에 체중 부하가 되면서 통증이 발생한다. 그 통증이 약물 치료나 운동 치료와 같은 다른 방법으로 치료되지 않을 때는 인공 관절 수술을 시행함으로써 통증에서 해방될 수 있다.

    ②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 증가
    관절염 환자의 일부와 화농성 관절염의 후유증 등이 있는 환자는 무릎을 완전히 펴지 못하거나 구부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수술 후에는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를 늘려서 쭉 펴진 상태에서 120도 이상 구부릴 수 있다.

    ③ 휘어진 다리의 교정
    심한 관절염 환자는 다리가 대개 O자형으로 휘어 있거나 간혹 반대로 X자형으로 휜 경우도 있다. 이런 환자는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할 때 휜 다리를 교정하여야만 수술 후 결과도 좋고 인공 관절의 수명도 길어지게 된다.

    (3) 적응증
    인공 관절 수술을 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관절 연골의 손상에 의한 관절의 통증때문이다. 무릎 관절에 생기는 질환으로 통증을 일으키는 것 중 가장 흔한 것으로는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으며, 그 외에 무릎 주위를 다친 후에 생기는 외상성 관절염, 무릎의 골괴사증 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A+ 양측성원발성무릎관절증 케이스스터디, TKRA CASE STUDY,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7) 특수치료 – 보완요법
    8) 합병증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5.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소개
    포항의료원 정형외과 병동에서 성인간호학 실습을 진행하였는데, 이 병동의 대부분의 환자들이 ‘양측성 원발성 무릎관절증’으로 인해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KRA)’를 시행하시고 회복 중에 있으시다. 성인간호학 이론 시간에 배운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한 수술 전, 후 간호에 대해 더 깊게 배우고 싶었고 빠른 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질적 간호를 수행하고자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양측성 원발성 무릎관절증(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의 정의〉
    무릎관절증이란 무릎에 통증을 일으키는 무릎관절의 질환을 포괄하는 말으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무릎관절염이 포함된다. 무릎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나고 X-ray 상으로 관절염의 징후가 나타난다면 이는 무릎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무릎관절염의 증상만 타나나고 검사상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무릎관절증이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이때 X-ray에서 볼 수 있는 무릎관절염의 징후는 보통 무릎 사이의 간격과 골학적 변화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실습 – 골관절염 케이스, 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OA,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가. 문헌고찰 – Osteoarthritis, OA

    나. 사례대상자 소개
    1. 일반적 사항(개인력) 및 현병력, 가족력
    2. 과거력

    다.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기능적 건강양상에 의한 간호사정
    2) 건강사정
    3) 진단검사
    4) 임상검사
    5) V/S
    6) BST
    7) PQRST 통증 사정 척도
    8) 욕창 위험도 사정(Braden scale)
    9) 낙상 위험도 사정(Morse fall scale)
    10) 배액: Hemo-vac
    11) 약물
    2. 간호진단: 의미있는 자료 요약 및 건강문제 목록
    3. 간호과정: 간호진단, 의미있는 자료, 진단의 합리적 근거, 목표 및 기대결과,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관절염은 흔히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우며 관절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골관절염 환자 수는 404만 명으로 2015년 353만 명보다 14%나 증가했다. 이렇듯 골관절염은 임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질환이므로 이번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골관절염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하고 싶어 2주간 OS 병동에서 임상실습을 하면서 골관절염 환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Ⅱ. 본론
    가. 문헌고찰 – Osteoarthritis, OA
    1. 정의
    관절이란 뼈와 뼈 사이가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연골, 관절낭, 활막, 인대, 힘줄, 근육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뼈의 관절면을 감싸고 있는 관절 연골이 마모되어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되고, 관절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을 골관절염이라고 한다.
    골관절염은 크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일차성(원발성) 골관절염과 원인이 있는 이차성(속발성) 골관절염으로 나뉘며, 원발성은 다시 몸의 여러 곳에 있는 관절들 중 한두 곳에만 발생하는 국한성과 여러곳에 발생하는 전신성으로 나누어지는데 국한성이 가장 흔하다. 속발성 골관절염은 관절구조의 선천적 결함, 심한 외상이나 감염질환 및 대사장애 등으로 발생한다.

    2. 병태생리
    장골의 끝은 정상적으로 관절연골로 싸여 있다. 골관절염의 경우는 류마티스 관절염과는 달리 활액막이 아닌 관절면의 연골부에서 병변이 시작된다. 연골이 닳게 되어 뼈끼리 서로 마찰을 일으키면 통증이 있고 관절이 붓는다. 시간이 흐르면 뼈의 모양과 관절 구조들이 변하고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받게 된다. 골관절염은 마모 과정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A+] 정형외과 무릎인공관절치환술, TKA/TKR, Total Knee Replacement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골관절염의 정의
    2.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기능
    3.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4. 골관절염의 원인
    5. 골관절염의 증상
    6. 골관절염의 진단
    7. 골관절염의 치료 및 간호
    8. 골관절염의 예후 및 합병증

    Ⅲ. 간호 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골관절염(Osteoarthritis)이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퇴행성관절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질환은 염증성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55세 이상인 경우에는 약 80%, 75세 이상인 경우에는 거의 전 인구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1/4 정도에만 임상적인 증세가 나타나며 주로 5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 또한 45세 이전에는 남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며 55세 이후로는 여성에서 더 발생한다고 보고된다. 하지만 관절염의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것을 방치해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은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는 아주 흔한 질병이면서도 완치를 기대하기 힘든 병이고 일반적인 치료로는 일시적으로 통증 완화 정도 이상은 기대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임상적 성공률은 10년 추시 90% 이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감염된 환자의 수는 슬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는 만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슬관절 치환술(TKR) 후 재치환술을 한 경우 5년 이내의 조기 실패 확률은 63%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감염이 38%로 가장 많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저항균주의 빈도가 증가하여 전치환술 후 감염의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예방적 항생제 사용 때문에 감염의 빈도가 점차 줄고 있지만 감염은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며 감염률은 1차 치환술의 경우1-2%, 재치환술의 경우 4-8%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골관절염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인 슬관절 전치환술(TKR)은 지난 5년 사이에 18%가 증가(대한슬관절협회, 2015)하는 등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실습 – TKR (Total Knee Replacement) – 수술실,회복실 사례연구보고서 –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연구
    3. 회복실 간호
    4. 맺음말(소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릎관절증(Gonarthrosis)(arthrosis of knee)

    1. 질병 진단명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무릎관절증은 ‘퇴행성 골관절염’이라고도 하며 무릎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국소적인 퇴행성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무릎관절을 이루는 뼈, 연골, 관절막, 연골판, 인대, 근육에 손상이 생겨서 통증과 운동장애, 변형이 생긴다. 무릎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무릎관절증이 발병하면 무릎이 아프고,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며,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원인은 무릎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연골, 뼈,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통증, 기능 장애, 변형을 유발하는 것이다.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노화,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년 및 노년층에서 흔히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빈도가 증가한다.
    크게 원발성 골관절증과 이차성 골관절증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1) 원발성 골관절증
    일반적으로 55~65세 사이 85% 정도 나타나며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에게 더 많고 정도가 더 심하다. 약간의 유전성 경향은 있으며 비만인이 정상인보다 두 배 정도 많고 주로 체중부하관절에 나타난다.

    (2) 이차성 골관절증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모든 외상, 기형, 질환이 원인이 되며 노인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층에서 볼 수 있다. 반복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쭈그리고 앉아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 게 발생위험이 높다.
    고관절과 무릎관절처럼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연결부와 척추에 잘 발생하며,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 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점점 늘리는 양상을 보인다. 관절이 침범되면 밝고 투명한 정상 연골이 불투명해지면서 노랗게 되고, 갈라지고 궤양이 생기면서 엷은 조각으로 벗겨지거나 움푹 들어간 자국이 생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