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TLIF

  • 수술실 사례 연구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측방요추체간유합술)

    목차

    1. 개인력
    2. 수술명
    3. 마취종류
    4. 마취제
    5. 수술전 준비
    6. 수술에 사용된 기계 및 기구
    7. 수술과정
    8. 회복실 간호내용

    본문내용

    문헌고찰

    1) 정의
    요추는 5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스크(추간판)는 척추뼈간을 이어주는 강한 연결조직이자 체중부하 시에는 척추뼈 사이의 쿠션 역할(충격 흡수 기능)을 합니다. 디스크는 질긴 외층과 연한 젤리같은 중심부의 2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퇴행성 변화나 강한 외상 등에 의해 디스크안에 있는 수핵이 외부층인 섬유륜을 뚫고 나가 주위 신경을 압박하고 그 주위에 염증반응이 일어나서 신경을 자극함으로서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추간판 탈출증이라 정의 합니다. 요추 부위의 추간판탈출증은 주로 4번과 5번 요추 사이의 추간판과 5번 요추와 1번 천추 사이의 추간판에서 발생합니다.

    2) 증상
    추간판탈출증의 증상은 탈출된 추간판이 주변을 지나는 신경조직을 압박하면서 나타납니다. 만약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을 누르지 않는다면 특별한 이상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을 압박하면 통증이나 저린 느낌, 감각이 마비된 느낌 등이 있을 수도 있고 운동신경이 압박될 경우 근력이 저하될 수도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마비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탈출한 추간판의 위치에 따라 다른 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원인
    허리 디스크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가장 유력한 원인은 ‘변성된 디스크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면서 디스크가 돌출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동안 어떤 사람들이 허리 디스크에 잘 걸리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무거운 물건을 많이 드는 직업, 운전을 많이 하는 직업, 흡연을 하는 사람에게 위험성이 높다는 사실 이외에 아직 뚜렷하게 입증된 사실이 없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 돌출의 빈도가 높아집니다. 이 때문에 어떤 의사들은 허리 디스크를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노화 현상이라고 말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