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V sim

  • A+ 아동 'V-sim 뇌전증, Jakson Weber' 간호과정 케이스 (문헌고찰, 간호진단 8개,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뇌전증(간질)중첩증[status epilepticus]
    1) 정의
    2) 원인
    3) 분류
    4) 증상
    5) 진단
    6) 치료

    Ⅱ. 간호력 사정

    Ⅲ. LAB 이상 수치
    1) 혈액학 검사
    2) 전해질 검사
    3) Drug Level
    4) Miscellaneous
    5) ABGA
    6) V/S

    Ⅳ. 투여 약물

    Ⅴ. 의식수준 아동용 GCS

    Ⅵ. 낙상 평가도구

    Ⅶ. 진단검사

    Ⅷ. 경련 직전 경고 증상

    Ⅸ. 간호 진단, 수행, 평가
    1)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진단
    2)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정의
    일반적으로 강직-간대성 경련(tonic-clonic convulsion)은 일정 기간 발작이 진행되고 자연적으로 완화되며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나, 전신형 뇌전증(간질) 발작이 반복적으로 계속하여 나타날 수 있다. 이때 개개의 발작 사이에 의식 회복이 있으면 연속적 뇌전증(간질) 발작(serial epilepsy)이라 하고, 의식 회복이 없으면 뇌전증(간질)중첩증이라 한다.
    뇌전증 지속상태는 30분 이상 발작이 계속되거나 임상적인 회복 없이 발작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하지만, 실제로 개별적인 발작이 2분 이상 지속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최근 들어 5세 이상의 연령에서 5분 이상 경련발작이 계속되거나 연속하여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는 뇌전증 지속상태에 준하여 치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체 뇌전증 발생의 7% 정도이고 전신발작 뇌전증 지속상태는 사망률이 20% 정도에 이르는 응급상황입니다.

    2. 원인
    특발성, 항간질 약물 복용, 중추신경계 감염, 두부외상, 종양, 뇌졸중 등이 원인으로 간질중첩증이 나타나게 된다.

    3. 분류
    – 전신발작 뇌전증지속상태
    – 비발작 뇌전증지속상태 : 진찰 소견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갑작스런 의식의 변화를 동반하는 환자에게는 감별을 위해 뇌파 시행도 고려해야 한다.
    – 단순부분 뇌전증지속상태

    4. 증상
    무의식 상태, 초기에는 빈맥, 고혈압이 나타나며 후기에는 서맥, 저혈압이 생길 수 있다. 패혈증이나 저혈당이 있으면 몸의 체온이 낮아지며 손발이 차고 습해진다. 또한 패혈증으로 피부 발진이 있을 수 있다. 뇌염, 뇌막염이 있을 경우에는 열이 난다. 두개골 골절이나 두부외상으로 콧물이 나거나 외이도에서 척수액이 나올 수도 있다. 동공의 확대, 수축이 나타나며 강직의 모습을 보일 수 있다.

    5. 진단
    원인을 알기 위한 방법으로 중요한 것이 전문가에 의한 환자의 병력 청취 및 몇 가지 검사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 'V-sim 위장염 Eva' 간호과정 케이스 (간호과정 2개)

    목차

    1. 간호력 사정
    2. Lab 이상 수치
    3.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력 사정
    성명 : Eva Madison(v-sim) 병실 : 소아과/0945 입원일 : 2022년 6월 8일
    연령 : 5 세 성별 : F 정보제공자 : 엄마인 헤더 매디슨과 본인
    직업 : 없음 종교 : 침례교 키, 몸무게 : 120 / 20.5
    혈액형 : A 흡연 : 해당무 갑/일 입원경로: 응급실
    Allergen: 없음 수술력: 없음 입원력: 없음 평소 먹는 약: 없음
    진단명: 위장염
    현병력 : Eva Madison은 응급실에서 소아과 병동에 막 도착한 5세 여성으로 3일 동안 구토와 설사, 체액을 유지하지 못했으며 배뇨가 나오지 않아 7시에 응급실로 방문하여 현재 입원중
    주호소: “어지러워요”, “배가 너무 아파요”, “3일간 설사와 구토를 했어요”, 어제부터 소변을 보지 못하고 소변이 어둡고 냄새도 좋지 않았어요“

    출처 : 해피캠퍼스

  • V sim Kenneth Bronson 폐렴, 아나필락틱 쇼크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해부 및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포함)
    2. 간호사정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를 해석하시오. ※ 진단명과 관련된 주요 검사명과 결과를 작성하시오.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을 파악하시오. ※ 진단명과 관련된 치료약물에 대해서 작성하시오.
    5. 대상자 간호진단 목록 작성
    6.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 계획 및 간호수행을 작성하시오.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벼운 폐렴은 감기와 구별하기 어려우며, 항균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심한 폐렴은 호흡부전과 사망에 이르는 무서운 병이다. 항생제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매우 높은 사망율을 보였지만, 현재는 매우 어린 소아나 노인 혹은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가 아니라면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많지 않다. 통계청에 의하면 20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6.5%로 나타났으며, 고령인구 비중은 계속 증가하여 2025년에는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65세 이상 고령자 10만 명당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733.3명), 심장질환(331.9명), 폐렴(257.5명), 뇌혈관질환(225.3명) 순으로, 폐렴이 3위로 나타났다.

    <중 략>

    1) 정의
    폐렴은 허파꽈리와 세기관지와 같은 폐 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과정으로서 허파꽈리 내로 수분을 이동시켜서 저산소혈증을 유발한다.
    폐렴은 역학적 요인에 의해 지역사회감염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과 병원감염 폐렴(hospital-acquired pneumonia) 으로 나뉜다. 원인 병원체에 따라서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비정형균, 결핵균, 리케치아, 기생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환자의 면역 상태에 따라 생기는 폐렴은 양상이 다르다. 한편 폐렴이 진행되는 양상에 따라 급성폐렴(acute pneumonia)과 만성폐렴(chronic pneumonia)으로 나누기도 한다. 또한 평균보다 늦게 호전되는 폐렴, 재발한 폐렴도 있다. 해부학적인 분류로는 대엽성 폐렴과 기관지 폐렴 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