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Vernon Watkins

  • 페색전증(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case study/vsim-Vernon Watkins 케이스/간호진단5개/간호과정2개/가스교환장애/폐색전증 케이스

    목차

    Ⅰ.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협동적 관리
    6. 간호

    Ⅲ. 건강사정
    1. 인적 사항
    2. 출처(source)
    3. 진단명(Medical Diagnosis)
    4. 수술명
    5. 주호소(C.C) / 입원 정보, 입원 동기
    6. 현병력(HPI)
    7. 과거력(PMH)
    8. 가족력(Family Hx)
    9. 사회심리적 문제(psychosocial)
    10. Review of system (문진을 통한 주관적 자료수집)
    11. Physical exam (신체검진을 통한 객관적 자료수집)
    12. 환자 기본 상태 사정

    Ⅳ. 약물

    Ⅴ. 진단검사
    1. 정맥 혈액 분석
    2. 동맥 혈액 분석
    3. 방사선 검사

    Ⅵ. 치료 경과 및 계획
    1. 진단명
    2. 현재 치료내용(order 내용)
    3. 향후 치료계획

    Ⅶ. 간호과정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간호사례 선정 이유
    ‘사다리 타기’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시된 사례들을 조원들과 나눈 결과, 선정되었다.

    Ⅱ. 문헌고찰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은 색전에 의하여 폐혈관의 일부가 갑자기 막힌 상태이다. 폐색전증이 초래된 혈관의 크기에 따라 치명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A. 원인
    대부분 하지의 심부정맥(깊은 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혈류로 운반되어 발생한다. 혈전 외에 종양, 공기, 지방, 골수, 양수, 심내막염에서 생긴 판막의 증식물로도 발생한다.

    B. 병태생리
    폐로 이동한 색전물은 폐혈관에 머무르는데, 색전의 크기와 숫자에 따라 위치가 결정된다. 색전이 머무는 부위의 혈류가 막히면 그 혈관이 공급하는 폐 부위의 관류가 감소한다. 환자는 계속 환기하지만 조직 관류가 없어 환기-관류 비율이 맞지 않아 저산소혈증이 발생한다.
    색전이 큰 폐혈관을 막으면 무기폐가 유발되고 심박출량이 감소한다. 색전이 작은 혈관을 막으면 심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나 관류는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 세로토닌, 카테콜아민,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가 동반되어 혈소판이 탈과립되고 혈전을 형성하며, 세동맥이 수축한다. 또한 이 화학물질들은 기관지와 폐동맥을 수축시키는데 이러한 혈관수축이 폐색전증에서 발생하는 혈행 문제의 주원인이라고 생각한다. 혈전으로 막히게 되면 그 혈관은 허탈되어 폐혈관 압력이 증가한다. 폐혈관 압력이 증가하면 우심장에 부하가 증가되어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관류 부족으로 저산소혈증과 산독증으로 심폐계가 허탈된다.

    C. 증상과 징후
    흔한 증상은 빈맥, 호흡곤란, 흉통이다. 이 증상들은 심근경색 증상과 유사하여 감별진단하여야 한다. 폐색전증에서의 흉통은 폐실질의 염증반응, 폐경색 혹은 허혈, 작은 폐혈관의 폐색으로 초래된다. 색전물이 큰 혈관이나 폐의 주요 부분을 폐색시켰을 때 호흡곤란이 더 심해진다. 불안, 기침, 발한, 기절, 객혈 등도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VSIM Surgical Scenario 4 Vernon Watkins 보고서 1단계,2단계,간호진단,퀴즈,검사 포함

    목차

    1. 1단계: 시나리오
    2. 2단계: Pre-Simulation Quiz
    3. Surgical Scenario 4: Vernon Watkins 간호진단 보고서
    4. Post-Simulation Quiz

    본문내용

    Mr. Watkins is a 69-year-old male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4 days ago with complaints of nausea, vomiting, and severe abdominal pain and was admitted for emergency surgery for bowel perforation. He underwent a hemicolectomy.
    He has a midline abdominal incision without redness, swelling, or drainage. He has commenced and is tolerating a normal diet without nausea or vomiting. Bowel sounds are present in all four abdominal quadrants. He had a bowel movement yesterday. Wound drains tubes have now been removed.
    He is reluctant to use the incentive spirometer, but his wife encourages him to do his deep breathing. Abdominal pain has been controlled with Oxycodone and Paracetamol. He has refused to ambulate this morning because of fatigue and a sore leg. He is ringing the call bell requesting to see his nurse.
    Watkins 씨는 4일 전 구역, 구토, 심한 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69세 남성으로 장 천 공으로 응급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그는 hemicolectomy를 받았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vSim for Nursing Surgical Scenario 4.Vernon Watkins_(정맥 혈전증 정리, 기초자료 요약, 간호과정, Guided reflection questions) A+자료

    목차

    Ⅰ. 정맥 혈전증 정리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예방
    6. 협동적 관리
    7. 간호

    Ⅱ. 기초자료 요약
    1. 기초자료
    2. V/S
    3. 진단적 검사소견(SEP/16 09:14)
    4. Intake/Output
    5. 약물 및 의학적 치료내용

    Ⅲ. 간호과정(사정, 진단,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폐혈관 색전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2. 조직의 산소공급 저하와 관련된 급성통증
    3. 수술 후 부동으로 인한 혈전과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관류

    Ⅳ. Guided reflection questions

    본문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숨쉬기가 힘들어요.“
    ● Q. 호흡이 더 쉬워졌습니까?
    ● A. 아니요
    ● Q. 호흡곤란이 있습니까?
    ● A. 예
    ● C.C : 4일 전 nausea, vomiting, severe abdominal pain으로 수술 시행
    ● 수술 : hemicolectomy
    ● incentive spirometer 사용 꺼려함, 피곤하고 다리 아파서 오늘 아침 보행 거부
    ● 가슴 검사 : 호흡 분당 24회, 양쪽에서 정상적으로 움직임
    ● 다리 검사 : 오른쪽 다리 부종, 피부 시원하고 땀이 많이 남
    ● RR : 21(01:00) → 22(05:15) → 24(09:00) → 24(09:10)
    ● SPO2: 96(01:00) → 96(05:15) → 93(09:00) → 93(09:10)
    ● P : 98(01:00) → 105(05:15) → 105(09:00)
    ● BP : 130/80(01:00) → 130/80(05:15) → 160/90(09:00) → 160/90(09:10)
    ● D-dimer(<0.5) : 0.9(06:15) → 0.76(09:14) ● Spinal CT scan : 좌측 상부 폐 분절 동맥의 혈전, 우측 상부 폐 분절 동맥의 혈전 ● 12 Lead : The heart rate is 111 beats per minute. pulmonary hypertension.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