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진단 1. 양수파막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임신 39주차, 6시간 전에 진통 때문에 입원함.
입원 당시 개대 4cm, 소실 100%, -1진입
3시 30분 양막파열이 일어남.
여전히 개대 6cm, -1 진입
crown 모습을 보임.
비재호흡 산소 마스트로 10L/min의 O 제공됨.
엉덩이 밑 방수패드가 거의 다 젖음.
(주관적 자료)
“양수가 흐르는 것 같아요”
“엉덩이 밑에 패드가 다 젖은 것 같아요”
“밑에 한번 확인해주세요“
간호 단기목표
: 출산할 때까지 감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고 고체온 시 보고한다.
2. 양수의 누출여부, 색, 양, 냄새, 양상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3. NST로monitoring 하여 태아 심박수를 관찰하고 빈맥이 나타나면 보고한다.
치료적 계획
1. 환자에게 처지 및 간호를 행하기 전 또는 후에 손을 씻는다.
2. 양수의 양상을 확인할 때 무균적으로 확인한다.
3. 패드를 2시간마다 교환한다.
교육적 계획
1. 감염 관리에 대한 교육을 하고 스스로 설명을 할 수 있게 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고 고체온 시 보고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