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실험(2) 방사선계측 실험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장치 및 구성
4. 실험내용
5. 실험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여러 가지 방사선 계측기기를 활용하여 방사선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올바른 개념과 특성을 이해한다.

2. 이론적 배경
(1) 방사선과 방사능
① 방사선(radiation)
불안정한 상태의 물질(방사성 물질)이 안정적인 상태로 바뀔 때 나오는 입자 혹은 빛

② 방사능(activity)
물질이 방사선을 내뿜는 능력

<중략>

4. 실험 내용
실험 1) GM Tube
① 거리에 따른 방사선 방호 효과
ⅰ. 장비의 전원을 켠다.
ⅱ. 실험조건을 설정한다.(900, 100)
ⅲ. Co-60 방사선 시편을 계측기 (3/6/9) 칸에 위치시킨다.
ⅳ. Count 버튼을 누른다.
ⅴ. 사용 후 전압을 0으로 내리고 종료한다.

② 차폐체에 따른 방사선 방호 효과
ⅰ. 장비의 전원을 켠다.
ⅱ. 실험조건을 설정한다.(900, 100)
ⅲ. Co-60 방사선 시편을 계측기 3칸에 위치시킨다.
ⅳ. 차폐체(T(Pb), S(Pb), P(Al), X(없음))를 위치시킨다.
ⅴ. Count 버튼을 누른다.
ⅵ. 사용 후 전압을 0으로 내리고 종료한다.

실험 2) HPGe 검출기
: 커피 원두의 방사능과 방사성 핵종을 분석
ⅰ. 커피 원두로 가득 찬 마리넬리 비커를 장비에 위치시킨다.
ⅱ. 시편의 조건을 작성하고 측정을 실행한다.(live time: 80,000sec, 353)
ⅲ. Start 버튼을 누른다.
ⅳ. 측정 후 피크에 해당하는 동위원소를 확인하고 출력한다.

5. 실험 결과
(1) 실험 1-1과 1-2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표를 만들고 이를 분석하시오.
① 거리에 따른 방사선 방호 효과
900에서 100동안 Co-60 시편의 방사선을 측정한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표 2]에 나타냈다. 3칸일 때 932개가 Count 되었고 에 따라 6칸이 되었을 때는 거리가 2배가 되었으므로 배가 되어 233개 정도가 Count 되어야 하지만 그보다 훨씬 많은 462개가 Count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