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급성경막하혈종(ASDH) 케이스스터디 +EVD

목차

1. 기본정보 및 현 질병관련 정보
2. 질병(원인, 병리,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시술에 대한 기술
3. 현 간호문제와 관련된 신체검진
4. 임상검사
5. 특수치료 및 검사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단명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without open intracranial (ASDH)
수술명/수술날짜
3/27 craniectomy, 3/29 EVD (FHA)
입원 동기
F/84 환자, 23. 03. 27 내원 20분 전까지 보호자(아들)과 정상적인 대화했다고 하나,
이후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에서 의식 잃은 채로 쓰러져있어 ER 통해 내원
주호소(주증상)
general weakness, concussion
본인 입원력
11. 04. 27. Lt. partial Mastectomy & Axillary node disectomy로 인한 입원
15. 10. 30. Both TKR로 인한 입원
병력
HTN, DM, HL, 유방암
수술력
11. 04. 27. Lt. partial Mastectomy & Axillary node disectomy (GS)
15. 10. 30. Both TKR (OS)
23. 03. 27. Lt. Craniectomy (NS)
23. 03. 29. EVD both brain
투약력
자가투약 – HTN, DM, HL
교육상태
1)무학 2)초등학교 재학 또는 졸업 ✔ 3)중학교 재학 또는 졸업
4)고등학교 재학 혹은 졸업 5)대학교이상 재학 혹은 졸업
결혼상태
1)미혼 2)기혼 ✔ 3)별거/이혼 4)사별

<중략>

2. 질병(원인, 병리,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시술에 대한 기술
경막하 출혈 Subdural hemorrahge
출혈은 뇌조직의 혈액공급에 변화를 초래하는 요소이며, 뇌혈관 폐쇄성 질환을 초래하는 위험요소이다. 흔히 뇌출혈하면 뇌내 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을 의미하며, 이의 대부분은 고혈압과 관련되어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오르는 상황에서 터지면서 뇌실질로 출혈이 일어나 혈종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뇌내출혈은 뇌졸중 환자의 15%의 원인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