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뇌경색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cerebral infarction(뇌경색)

Ⅱ. 본론
1. 건강사정 (NANDA 인간반응양상 중심)
2. 진단 및 치료
3. 치료 경과 및 계획
4. 간호문제 목록
5. 간호진단

본문내용

정의

뇌는 체중의 약 2% 밖에 안되지만 분당 심박출량의 약 20%를 받으며 신체의 산소 소모량의 20%를 사용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막히는 경우)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가 시작된다. 뇌혈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신경학적 대사가 30초 이내에 변화하고, 2분 이내에 중단되며, 세포는 5분 이내에 파괴되기 시작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중 략>

3. 치료 경과 및 계획
GCS 15점, motor power Rt.arm 4 /Lt.arm 5 / Rt.leg 4 / Lt.leg 5
매일 2시간마다 체위변경

7/1
입원(김천 제일병원에서 전원)
foley catheter 14F hematuria(혈뇨) 관찰됨.

7/2
foley catheter 14F 유지중이며 hematuria(혈뇨) 호전 양상임.
엉덩이 부분 붉게 발적있어 medifoam dressing, 에어 매트리스 적용.
8P30 전신의 소양감 호소.
BST – 236 huma(인슐린)(+)

7/3
foley catheter 14F 유지중으로 yellowish color로 배뇨중이며 hematuria 관찰되지 않음. 소변은 흐리며, 냄새 심함.
BST – 274 huma(인슐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