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치매에 대한 현황분석 및 사업의 필요성
Ⅱ. 치매교육에 대한 사업효과
Ⅲ. 보건교육계획안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9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수가 7,718,616명으로 우리나라 전체인구 51,337,424명 중 15%를 차지하였으며, 전체 치매상병자수는 2010년 285,773명에서 2019년 959,001명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2010년대비 약 30%증가)이다. 2019년 노년부양비는 20.8명이며, 이는 생산가능인구 약 4.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노인인구 대비 치매상병자수 현황(2010-2019)]
급속한 인구구조의 노령화는 우리사회가 지금 직면하게 된 가장 중요한 국민보건문제이다. 이에 발 맞추어 여러 공공분야 사업이 의료지원과 함께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회 저변에 치매에 대한 이해나 인식이 부족하고, 이로 인하여 치매 환자와 보호자들이 적절하게 질환에 대응하지 못하거나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지 못하다는 보고가 있어왔다. 인구의 고령화로 치매노인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 12명 중 1명이 걸릴 정도로 흔한 질병인 치매는 개인의 품위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인격이 황폐화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질환이다. 최근 치매 환자가 증가되면서 치매가 무엇인가, 치매노인을 어떻게 간호할 것인가에 대해 알려고 하는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치매 노인 실종 신고는 2017년 1만307건에 비해 2021년 1만2천562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 새 약 22% 늘어난 것이다. 최근 노령화로 치매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치매 노인 관련 실종 신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어 예방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치매안심센터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