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편집조현병(paranoid schizophrenia) 케이스(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적용 2개)

목차

Ⅰ. 조현병(schizophrenia) 문헌 고찰
Ⅱ. 대상자 사정
Ⅲ. 약물요법의 부작용 관찰과 간호
Ⅳ. 간호 진단
Ⅴ. 사례 대상자 교육 계획안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원동기
 19년도경 환자 미용자격증 준비하였으나 시험에 번번이 떨어지고 미용실에서 일했으나 소심한 성격으로 사람들과 관계로 스트레스와 눈치 받으며 일했고 이직도 어려워 이로 인해 분노조절이 어려운 것 같아 local NP에서 p.o tx 했음
 21년부터 자취 시작했고 그때부터 p.o loss 됐음
 22년 2월 4일 환자가 개인위생 챙기지 않는 모습으로 밖에서 배회하는 모습 보여 지구대에서 모친에게 인계함
 그때부터 본원 입원 시까지 부모와 함께 지냈으나 혼잣말을 지속하고 샤워하다가 누가 날 욕하는 소리가 들린다며 욕설을 하는 등 irritable한 모습을 보여 f/u했던 local NP에 2월 5일 방문하여 p.o 처방받았으나 주치의가 입원치료 권유하여 금일 외래 통해 본원으로 입원함

<중 략>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불안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불안을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하고, 대화를 통해 라포를 형성하여 신뢰감을 쌓는다.

[치료적 계획]
3. 대상자에게 인지치료요법을 제공한다.(자기감시법, 홍수법 등)
4. 대상자에게 활동치료를 제공한다. (미술치료, 음악치료, 문학치료 등)

<중 략>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알맞은 간호중재를 적용하기 위해서 불안 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불안을 사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2. 대상자는 불안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대상자와의 신뢰감 형성은 조현병 대상자에게 가장 기본적인 접근이다. 대상자에게 신뢰를 주어 안정감과 안전에 대한 확신을 제공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