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간호학 9~13주차 요약과제

목차

없음

본문내용

9주차: 호흡기계 chap22. 호흡기계 감시
1. 호흡기계 감시
: 환자들의 호흡상태변화와 관련된 지속적인 신체 모니터링 포함
– CNS의 저산소증에 의해 혼돈, 안절부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호흡기계 감시와 의식상태 변화 모니터링
– 임박한 호흡부전으로 인한 심장의 리듬 장애파악을 위해 심장 모니터링
– 호흡수, 리듬, 가슴운동, 호흡음 기록 등을 포함한 환기 모니터링
– 기관지 분비물의 양상(양, 점도, 색깔, 냄새) 모니터링
– 수액 모니터링
– 혈액의 산소-운반 용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헤모글로빈 모니터링: SpO2, ABGA, ETCO2 측정

2. ABGA
▶ ABGA 측정목적
1) 폐의 환기, 확산, 산화 등 가스교환 능력 파악
2) 중환자 평가 및 관리의 가장 기본적 검사
3) 폐질환 대상자의 호흡기능 평가
4) 인체의 산-염기평형 상태 사정
▶ 요골동맥에서 ABGA 검사 방법
1) 환자의 흡기산소농도 기록
2) BT check : 체온은 Hb로부터 산소의 유지에 영향
3) Glove 착용 후 요골, 상완 또는 대퇴동맥 촉지
4) 요골동맥 천자 시 Allen test 실시
5) 손바닥이 위로 가도록 쫙 피게 한 후 전체적인 피부 색깔을 사정
6) 중지와 사지를 사용하여 요골동맥의 행로 촉지: 최대 맥박 촉지되는 곳을 찾음
7) 피부표면의 45~60° 각도로 바늘을 놓고 동맥 내로 삽입(ABGA kit 또는 내부가 헤파린 코팅된 주사기 사용)
8) 바늘이 움직이지 않도록 서서히 혈액 채취: 동맥압에 의해 syringe내로 혈액이 저절로 채워짐
9) 혈액채취 후 마른 스폰지로 천자부위를 5분 정도 압박
10) 신속히 주사기와 바늘 내의 공기 제거 후 고무마개로 공기 접촉 차단
11) 검사실로 신속히 검체 내림 : 분석할 때 까지 얼음 채운 그릇에 보관
ABGA
VBGA
PaO2 80~100mmHg
PaO2 34~85mmHg
SaO2 98%
SaO2 75%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