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정보
2. 정신병력 사정
3. 대상자 개인사정
4. 복용 중인 약물
5.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대상자와의 면담과 척도를 통해 자존감 정도를 사정하였다.
→ Rosenberg 자존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존감을 사정해본 결과 18/40으로 ‘낮은 수준의 자존감’ 범위에 속하였음.
→ 면담 중 대상자의 비언어적 몸짓이나 행동들, 필담시 글을 써내려가는 양상 등에서 위축된 모습을 보임과 더불어, 본인 스스로 “말을 못하니까 사람들이 저를 싫어하고 말을 안 걸어주는 것 같아요”와 같이 말하였음.
2. 대상자가 자존감에 대해 표현하는 생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강점에 집중하였다.
→ 대상자의 목에 이물질이 걸렸다는 망상에 최대한 반박하지 않고 수용해서 신뢰가 깨지지 않도록 하였음.
→ 배달일을 성공적으로 잘해내었다고 하고 자신감을 보여, 눈을 맞추며 경청하였고, 칭찬과 공감을 해주며 퇴원 후 직업 복귀에 대해 대화함. ‘성실함, 꾸준함’ 등 대상자와의 이야기에 걸맞은 자존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단어들을 활용하여 격려해주었고, 본인 스스로 또다른 자신만의 장점들을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었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