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 위암(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의학적 진단명과 병태생리

2.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
4) 과거력
5) 심리사회력
6) 가족력
7) 기타

3. 신체검진
1) 일반 상태
2) 피부 상태
3) 머리, 눈, 귀, 코, 구강 및 목의 상태
4) 호흡기 상태
5) 순환기 상태
6) 소화기 상태 (현재 SOW 중임))
7) 유방 및 비뇨생식기 상태
8) 근골격 상태
9) 신경 상태
10) 내분비 및 기타 상태

4. 치료
1) 진단검사
2) 약물

5. 총괄적 소견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의학적 진단명과 병태생리

의학적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of body of stomach, advacned

질환 병태생리
위암의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여러 요인들이 위암 발생 원인으로 암시되고 있다. 위암은 H. pylori 감염, 자가면역, 담즙, 항염증 약물과 담배에 지속적 노출에 의한 점막 손실로 시작될 수 있으며 훈제 음식, 소금에 절인 생선과 고기 및 절인 채소로 구성된 식이와도 관련이 있다. 통곡물과 신선한 과일 및 채소는 위암 발생을 감소시킨다. 특히 어린 나이의 H. pylori 감염은 위암 발생의 위험요인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H. pylori로 인한 대사 변화가 세포이형성 단계에서 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유도한다. 위의 림프종이 있는 사람이 위암 발생 위험이 더 크다.
위암과 관련된 다른 선행요인은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선종성 폴립, 증식성 폴립, 비후성 위병증과 무위산증이다. 흡연과 비만 모두 위암의 위험률을 높인다. 위암은 소화성 궤양으로 인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발병하기 쉽다. 환자의 직계가족 중 위암이 있으면 발병할 위험이 높지만, 8~10%의 위암에서만 선천적 유전인자를 지니고 있고, 추가적인 유전요인들이 조사되고 있다.
위암은 잘 전이되고 일반적으로 간과 주위 조직으로 빠르게 침투한다. 복막강으로 종양세포가 전이되는 것은 질환 말기에 나타난다.

2. 간호력

면담일: 202O. 09. 05 면담자: 간호사 자료출처: OO병원 EMR

1. 일반적 사항
이름 차OO 나이(만) 92 성별 F 직업 무직

2. 주호소
① vomiting ② general weakness

3. 현병력
– 8/30일경부터 증상있어 타병원 위내시경 후 위암 4기 진단받고 증상 호전없이 본원 외래 통해 입원함.

4. 과거력
– 없음.

5. 심리사회력
– 흡연력 : 비흡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