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췌장과 주위 조직의 염증과 관련된 급성통증/발열, 치료적 금식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부적절한 혈당관리와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목차

Ⅰ. 문헌고찰
A. 병태생리
B. 원인
C. 증상 및 징후
D. 진단적 검사
E. 치료 및 간호

Ⅱ. 건강사정
A. 환자 소개 (인적사항, 출처, 진단명, 주호소,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사회심리적 문제, Review of system, Physical system, Functional assessment)
B. 약물
C. 진단검사 소견
D. 치료경과 및 계획

Ⅲ. 간호과정
A.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선정
B. 간호과정 적용(간호사정, 진단, 계획, 중재, 평가)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A. 병태생리
급성 췌장염은 급성 간질성과 급성 출혈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급성 간질성 췌장염인 경우 췌장샘이 전체적으로 붓고 염증이 있으나 해부학적인 형태는 변하지 않고 출혈이나 궤사가 나타나지 않으나, 급성 출혈성 췌장염인 경우 출혈과 궤사가 일어나며 심한 경우는 췌장의 광범위한 지방궤사뿐만 아니라 복강이나 흉강 그리고 피하조직도 궤사가 일어난다.
췌장에 손상을 일으키는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췌장에서 발생하는 병리적인 변화는 췌장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지방 분해 효소의 조기 활성화로 인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효소들은 췌장에서는 비활성화된 형태로 분비되고 십이지장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정상적이다. 췌장에서는 이러한 효소들이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트립신억제제를 분비한다.

<중 략>

B. 원인

알코올
알코올이 췌장염에 미치는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가설에 따르면 알코올은 췌장의 분비를 자극하고, 오디괄약근의 경련을 유발하고, 췌장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구성을 변화시켜서 작은 관들을 막아 췌액이 분비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샘꽈리 세포의 세포막을 약하게 하여 세포가 쉽게 손상이 되어 트립신 억제제의 양이 감소된다. 췌장의 지방대사와 전신의 지방대사를 방해하여 고지혈증을 악화시킨다.

담석
담췌장관 팽대를 통한 담석의 이동으로 담즙이 췌장관 앞으로 역류함으로써 췌장의 실질 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기타 원인
⦁고지방혈증
⦁췌장을 관통하거나 외부에서 둔하게 가해지는 외상, 수술 시 조작, 내시경역행담 췌관조영술(ERCP) 중 췌관을 과도하게 팽창시키거나 담췌장관 팽대의 촉진 등과 같은 췌장의 외상
⦁저혈압성 쇼크, 심폐측로 형성이나 맥관염의 발생 등과 같은 췌장의 국소 빈혈
⦁급성 췌장염과 관계되는 약물들로 아자티오프린과 에스트로겐이 질환과 직접적으 로 연관되지만 그 밖의 많은 약물이 관련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