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명목수준
2) 서열수준
3) 등간수준
4) 비율수준
본문내용
우리가 사회현상을 양적 방법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사회현상을 명확한 용어로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조작적 정의를 내려야 한다. 그러나 사회현상은 자연현상과 달리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사회과학자가 인간의 내면세계, 정서와 감정, 특정 사회현상에 대한 태도나 인식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현상들이 명확한 용어로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사회현상에 대한 개념적 정의는 연구자가 상호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안이다. 어떤 사회현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그 현상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만약 특정 현상에 대해 개념이 없다면 우리는 그 현상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측정은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개념을 조작화된 결과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온도는 체온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무게는 저울로 측정 가능한 지수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추상적인 사회현상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빈곤이라는 사회현상은 ‘수입이 적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어려운 상장으로 정의 내릴 수 있지만,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빈곤 정도를 측정하게 되면 빈곤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은 측정 가능한 지수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조작적 정의를 거쳐 측정 가능한 상태가 되면 변수(variable)가 된다. 변수는 일종의 조작화된 개념인 셈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