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성인간호학 만성신부전(CRF) A+ 보고서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및 위험요인
Ⅲ. 증상
Ⅳ. 진단
Ⅴ. 치료 및 간호중재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정의
· 신장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몸 안에 노폐물이 쌓여서 신체의 여러 가지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상태
· 3개월 이상 신장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손상이 발생
·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 이하, 비가역적으로 감소한 상태
· BUN, creatinine 상승

<만성신부전증의 단계>

단계
사구체여과율
(ml/min/1.73㎡)
특징
중재
0
<90 사구체 여과율 감소는 없지만 위험군 위험요인에 대한 검진 1 ≥90 콩팥 손상은 있지만 사구체여과율은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 위험인자에 대한 중재 2 60≤, <90 콩팥 손상이 있고 사구체여과율이 약간 감소 위험인자에 대한 제거 3 30≤, <60 사구체여과율이 중간 정도로 감소 질병과정의 지연 4 15≤, <30 사구체여과율이 심하게 감소 합병증 관리, 신대체요법 준비 5 ≤15 또는 투석 콩팥기능상실, 요독증 신대체요법, 신장이식 Ⅱ. 원인 및 위험요인 (1) 고혈압성 신장 경화증: 동맥이 두꺼워지고 좁아져 네프론으로의 혈류가 감소합니다. (2) 당뇨성 신장 경화증: 비후된 모세혈관의 결절이 형성되고 모세관압박, 허혈, 사구체가 파괴됩니다. (3) 신장 병변: 만성 사구체신염, 다발성 낭포신, 만성 신우신염 (4) 화학약품, 약물, 독성 물질 Ⅲ. 증상 <전해질 불균형>
-> 보통 식사로 경구 섭취되는 전해질도 만성 신부전에서는 과잉 혈증을 초래합니다.
(1) 나트륨: 초기 수분 정체로 인한 저나트륨혈증, 말기 고나트륨 혈증 ->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동반
(2) 고칼륨혈증: 보통 식사로 쉽게 고칼륨혈증 초래
(3) 고인산혈증: 배설이 잘 안되어 초래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