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아동간호학 A+ 갑상샘 기능 저하증 레포트

목차

Ⅰ. 서론
(1)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개념
(2)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중요성
(3) 갑상샘 기증 저하증 선정이유

Ⅱ. 본론
(1) 원인
(2) 증상
(3) 치료
(4) 간호
(5) 진단

Ⅲ. 결론

※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1. 갑상샘 기능 저하증 개념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샘호르몬(T3, T4)의 부족으로 각 조직에서 산소소모율이 감소하여 신체 대사율이 현저하게 느려진 상태이다. 갑상샘호르몬은 열과 에너지의 생성에 필수적이므로 갑상샘호르몬이 부족한 경우 온몸의 대사기능이 저하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크레틴증(cretinism)이라 불리는 신생아기부터 갑상샘호르몬의 결핍이 일어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성인에게서 볼 수 있는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경우가 있다. 단지 갑상샘 기능 저하증이라고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이 성인형을 가리킨다. 이외에도 점액 수종성 혼수, 만성 갑상선염, 아급성 갑상샘염이 갑상샘 기능 저하증에 속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그 자체로 질환이라기보다는 병세(결과)이며, 주로 30~60세 사이에 빈도가 높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약 4배 많다.

2.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중요성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우리 몸에서 필요로 하는 갑상샘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대사가 저하된 상태이며, 어린이들의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질환 전체적으로 볼 때 많은 편은 아니다. 보고된 자료의 일관성이 부족하여 정확한 발병률을 결정하기 어려우나 대체로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신생아 중에서 4000명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하는 영유아에게 일어날 수 있는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예를 들면, 미국 국립보건원은 NICU 의료절차에 사용되는 요오드에 노출되어 선천성 갑상샘 기능 저하증에 대한 유아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갑상샘 기능 저하증에서도 자가면역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인 하시모토 갑상샘염 같은 경우, 특히 청소년기에 주로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