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
4. 과거력
5. 가족력
6. 진단검사
7. 약물
8. 간호과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수술과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 장애의 위험 (HOD#4=POD#3 / HOD#5=POD#4 / HOD#6=POD#5)
주관적 자료
Ÿ “배가 아파요” (POD#3)
Ÿ “소화기 문제로 자주 병원 다녔어요”(POD#4)
Ÿ “먹으면 소화가 안 될 것 같아요” (POD#4)
Ÿ “배는 이제 안 아파요” (POD#4)
Ÿ “방귀도 나오고 대변도 잘 나와요”(POD#5)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postoperative intestinal obstruction
2. 수술명: laparoscopic assisted adhesiolysis
3. 현병력: 최근 한달 간 두차례 장폐색 진단 하에 서울성모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하고 호전되어 경과보았으나, 11월 2일부터 복통 및 구토가 지속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함
4. 과거력: 2005년부터 2023년 10월까지 수차례의 반복되는 소화기증상으로 인한 수술력
5. 자동화학면역검사
6. abd. supine & erect (POD#0 ~ POD#5): bowel gas pattern is normal
7. 약물: Gasmotin(위장관 운동 조절제), Lacidofil(유산균제제), Gaster(H2 수용체 차단제)
8. 식습관 사정
① POD#3: 오전-비위관, 오후-sow
② POD#4: 당뇨식 미음 1/6 섭취, 물 2컵
③ POD#5: 당뇨식 미음 2/3 섭취, 물 1.5컵
* POD#3~5 식사 후 복부 불편감 및 통증 없음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 장애의 위험 (HOD#6 POD#5)
간호목표
장기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소화기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
1. 대상자는 2일 동안 소화기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사를 남기지 않고 다 먹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