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적타당도 저해요인

목차

본문내용

실험설계에서 외적타당도는 실험결과를 모집단에 일반화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만약 실험설계에서 외적타당도가 높게 나타난다면 동일한 프로그램을 모집단에 적용하였을 때 실험결과는 유사하게 나타나야 할 것이다.
그러나 특정 사회복지기관에서 실시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개입목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고 해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른 기관에서도 반드시 동일한 효과성을 보일 것이라고 보장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으며,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과 후 프로그램이 그것을 운영하는 기관마다 효과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운영기관마다 다르기 때문일 수 있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실천가와 학생들의 독특한 상호작용이 다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