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사례연구의 전개과정] 단일사례조사설계방법의 전 과정

목차

1. 개입 목표와 전략의 수립
2. 기초선 단계
3. 개입단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일사례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집단이 아닌 개별 사례의 변화과정을 보여 줄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따라서 단일사례연구의 진행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결정해야 .할 사항은 연구의 목적이 되는 개입 목표를 설정하는 일이다.
단일사례연구에서 개입의 목표는 연구참여자의 심리 ․사회적 특성이나 관찰 가능한 행동들 중에서 선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개별 사례의 문제행동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목표가 될 것이고, 혹은 개별 사례의 긍정적인 내용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을 개입의 목표로 설정하게 된다.
개입의 목표가 결정되면 단일사례연구에서는 개입 목표의 변화를 보여 주기 위해 기초선 단계를 거치게 된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개입 목표가 되는 변수값을 연구자가 개별 사례에 개입하기 이전에 반복 측정을 수행하면 된다. 기초선 단계에서 측정값의 변화 폭이 커지면 개입의 시기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기초선 단계는 최소 3회 정도 개입 목표를 측정하되 측정값이 개입 이후의 값과 비교할 수 있다고 판단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기초선 단계가 마무리되면 본격적으로 실천가의 개입이 시작되고, 개입 목표의 값을 다시 반복 측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단일사례연구의 개입단계에서 개입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개입을 중단하고 다시 개입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단일사례연구를 반전설계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