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극 치료 탐구보고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반려동물 연골 치료에 전기 자극이 쓰이지 않더라도 연골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딱히 없어서 조사하는 중 전기 자극 치료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런 전기 자극치료는 반려동물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직접 쓰였는데 전기 자극으로 사람의 만성통증을 치료하고 뇌졸중 등 뇌질환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조사 결과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전기 자극치료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 궁금하여 조사하게 되었고, 그 중 ‘호아타 요법’, ‘역치 이하 신경 자극 기술’등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기로 하였다. 따라서 우리 조는 전기 자극의 예시들과 사람과 반려동물의 연골 차이, 올인원 시스템 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실험은 동물과 사람의 연골 구조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조사한 후, 조사한 내용을 통해 사람의 신체에서의 전기 자극 치료 가능 여부를 예상해보고, 직접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부위별로 전기 자극을 가하여 부위별 세포 분화 정도와 근수축의 정도가 수치화된 값을 조사한다. 이때 성별, 나이, 부위 등 조작변인을 다르게 한다. 수치화된 값을 비교하여 어느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했을 때 효과가 큰지 유추해본다. 조사한 내용과 실험한 내용을 토대로 현대 전기 자극 치료를 잘 이용하지 않는 부위들 중 전기 자극 치료를 했을 때 효과적인 결과를 보일 부위가 어떤 곳이 있을지 예측해본다.

Ⅱ. 본론

*너무 많은 변인, 통증의 주관성, 그 주관성을 해소할 객관적인 기준 마련 실패로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대신 각 소주제를 조사하여 미세전류에 대해 이론을 펼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미세전류의 개념
나트륨, 칼륨, 칼슘, 염소 등의 이온이 몸속으로 들어오면 세포의 안정 상태가 깨지는데, 이때 세포는 다른 이온을 부르게 된다. 양이온이 음이온을 부르고, 음이온은 양이온을 부르는 것이다 미세전류는 이렇게 세포막이 이온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