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단검사
2.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처방 포함)
3. 간호과정 2개
본문내용
■진단검사
① 혈액학적 검사
WBC
4~10 K/uL
8.44
증가 : 염증성 질환, 악성종양, 세균감염, 수혈부작용
감소 : 골수 기능저하, 제생불량성 빈혈
RBC
4.5~6.3 M/uL
4.32
증가 : 원발성 다혈구 혈증, shock, 탈수, 부신부전증
감소 : pancytopenia, 철결핍성 빈혈, 용혈성 빈혈, 간경화
Hb
12~16g/dl
12
증가 : 다혈구혈증, 적혈구 증가증
감소 : 적혈구 생산 감소되는 빈혈
Hct
36~48%
36.7
증가 : 원발성 다혈구혈증, 탈수
감소 : 철결핍성 빈혈, 용혈성 빈혈
MCV
79~96fl
89.2
증가 :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감소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MCH
26~33pg
28.7
증가 :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감소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BUN
5~23mg/dl
11
증가: 신장질환, 요로폐쇄, 악성종양, 갑상선기능항진증
감소: 간기능부전, 임신, 요붕증, 저단백식이
PLT
170만~450만/mm³
139
증가 : 악성종양, 진성 다혈구 혈증, 비장 절제술
감소 :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AIDS, 용혈성 질환
② 전해질 검사
Na.
135~145 mmol/L
144
증가:중증당뇨환자, 고장식염수의 과잉투여
감소 : 수분과잉, 위장관손실
K.
3.5~5.5 mmol/L
4.6
증가 : 배설장애(신질환), 발열, 기아
감소 :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부신피질 과형성
Cl.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