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
1) 토론이란 무엇인가 (Jeffery Auer)
2) 토론의 기능
3) 토론의 효과
4) 토론의 원칙
5) 토론의 입장
6) 논증
7) 논증구조
8) 발표할 때 주의사항
2. 논제: 인간을 위한 동물실험, 꼭 필요하다
3. (찬성측) 의견 정리
1) 동물 실험이란?
2) 논제의 사회적 배경?
3) 주장1. 인간이 실험대상이 될 수 없으며, 현시점에선 동물실험이 최선이다.
4) 주장2.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5) 주장3. 동물들은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
6) 결론
본문내용
이론
1 토론이란 무엇인가 (Jeffery Auer)
1.1 특정한 논제에 대해
1.2 경합을 보내는 두 진영이
1.3 적절하고 균등한 시간 속에서☆
1.4 보편적 청중의 결정을 얻기 위해
1.5 직접 부딪치며 논의를 전개하는 대화방식
2 토론의 기능
2.1 갈등해결: 감정적, 정서적 대립 최소화
2.2 비판적 의사결정: 적절한 주장 비교검토, 독자적 의사결정 방지
2.3 합리적 문제해결
3 토론의 효과 : 문제분석, 비판력, 논리력, 설득력, 자료해석, 종합력, 표현력, 리더십
4 토론의 원칙:
4.1 추정의 원칙
4.2 평등의 원칙
4.3 의사소통의 원칙
<중 략>
(찬성측) 의견 정리
1. 동물 실험이란?
: 교육, 시험, 연구 및 생물학적 제재의 생산 등 과학적 목적을 위해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험 또는 과학적 절차
2. 논제의 사회적 배경?
: 반려동물의 증가로 동물의 권리를 보호자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동물실험반대운동이 일어남.
주장1. 인간이 실험대상이 될 수 없으며, 현시점에선 동물실험이 최선이다.
①전문가들이 동물실험의 가능성을 주장한다.
②인간을 실험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
동물실험을 통해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많은 질환의 원인들을 밝혀내고, 백신과 치료제 들은 동물 실험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실험 동물은 의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의약품 개발, 식품 분야 등 다양 한 분야에서 행해진 안정성 및 개발 연구를 통해 인류의 복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유용성]
-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생리학적 특징
-실험동물은 세대기간이 짧다.
-실험에 영향을 주는 환경조건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개 : 노화, 인공 뼈/관절, 장기이식 등의 연구
돼지 : 동맥 경화증, 심장이식, 스트레스 등의 연구
토끼 : 눈, 귀 감염 연구, 피부질환
쥐 : 마약성 약품, 암, 유전질병 모델동물 연구
페럿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독성시험, 개 홍역 연구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